마음건강정보 상세

2022-03-24

코로나로 인한 스트레스와 불안감, 불면증의 가장 큰 이유 [현대건강신문]

재택근무로 수면의 질과 양 개선됐지만 사무실 복귀할 경우 우려 커


코로나 이후 스트레스가 이전보다 수면에 더 큰향을 미쳤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레즈메드는 3월 18일 '세계 수면의 날'을 맞아 전 세계인 수면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초 실시된 이 조사는 수면이 육체적,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중요한 역할에 대한 인식 확산을 목표로 12개국의 23,000명이 넘는 응답자들에게 밤에 잠 못드는 이유에 대해 물었다. 여러 국가의 응답자들 대다수가 코로나 이후 스트레스가 이전보다 수면에 영향을 더 미쳤다고 답했고, 국가별로는 브라질이 64%로 가장 높았으며, 독일과 일본은 35%로 비교적 낮았다. 미국 응답자의 38%는 밤에 잠을 잘 못자는 이유로 우울증과 불안감을 꼽았다. 응답자들은 스트레스, 우울증, 불안감 외에 잠을 잘 못자는 이유로 가족관계, 업무 관련 걱정, 재정적 압박 등을 꼽았다. 또한, 이번 조사는 사람들이 재택근무에서 다시 사무실 근무로 복귀할 시 그들의 수면의 질이 어떻게 변화하고 어떠한 영향을 받을 것인지 보여줬다. 많은 응답자들은 재택근무로 일하는 동안 잠을 보다 더 잘 그리고 오래 잤다고 답했으며, 사무실에서 보내는 근무시간이 길어질수록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것이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를 표했다. 국가별로는 45%의 미국인이 재택근무 동안 사무실 근무보다 잠을 더 많이 잘 수 있었다며, 이 중 48%는 사무실 근무로 복귀하면 일어나기가 힘들 것이라고 답했다. 응답자중 재택근무 비율은 독일(66%), 인도(65%), 중국(61%), 호주(60%) 순으로 높았고, 그들 모두 다시 사무실로 출근하게 될 시 아침에 일어나기가 매우 힘들 것이라 답했다.

 

레즈메드의 최고 의료책임자 카를로스 누네즈 박사(Carlos M. Nunez, M.D.)는 " 전 세계 사람들이 다양한 이유로 질 높은 수면을 취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며, "코로나로 인한 스트레스, 우울증, 불안감으로 많은 사람들의 수면의 질이 낮아진 건 분명하지만, 대부분의 국가 응답자의 절반이 수면을 개선하거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 의료인의 도움을 구한 적이 없다”며 안타까움을 표시했다. 수면 건강이 중요한 문제임에도, 많은 조사 응답자들은 더 나은 수면을 위한 해결책에 대해 의사와 상의하지 않고, 오히려 잠자기전 ’TV 시리즈 몰아보기’나, 수면제 복용, 아로마 테라피, 차 음용과 같은 대체 수면 유도 활동 등 근본적으로 수면의 질을 높이기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 방향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물론 모든 사람들이 가끔 질 나쁜 수면이나 잠을 설치는 현상을 경험하지만, 수면 관련 문제들을 지속적으로 경험하는 사람들은 보다 더욱 심각한 건강 문제를 겪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미국인의 약 52%가 코를 골거나 코를 곤다는 말을 들었다고 보고했지만, 그 중 33%만이 코고는 것과 관련된 그들의 건강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사람들은 코를 고는 것은 그저 소리 내며 잔다고만 생각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그들은 아직 진단받지 못한 수면무호흡증(Sleep Apnea)로 인해서 반복적 그리고 무의식적으로 잠을 깨는 현상을 겪고 있는 것이다. 코골이는 수면무호흡증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이다. 카를로스 박사는 "수면의 질은 생활 패턴의 변화와 나쁜 습관으로 인해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진단을 받지 않고, 잠재적이며 의료적인 원인을 모르는 상태로 살아가고 있다"고 하였다. 또한 그는 "수면무호흡증은 심각한 건강 문제이고, 5,400만명 이상의 미국인들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중요한 문제이지만, 이 질환에 대해 검사를 받는 사람은 매우 적다”고 밝혔다.
미국인 응답자의 22%만이 수면무호흡증 검사를 받았다고 답했다. 다른 나라에서는 프랑스 17%, 독일 15%, 영국 13%, 싱가포르 12%로 그 비율이 심지어 더 낮았다.

 

현대건강신문  채수정 기자

[출처]http://hnews.kr/news/view.php?no=58992

caution-icon

본 정보는 정신질환정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자료 이며, 정확한 증상과 판단을 위해서는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진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다음글]  불면증 의심될 땐 침실에 시계부터 치우세요! [연합뉴스 : 이유진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이전글]  몸이 보내는 건강 적신호, 수면무호흡증 [건강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