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트로델비주(사시투주맙고비테칸)
절제 불가능한 또는 전이성인 호르몬수용체 (HR) 양성 및 인간 표피성장인자수용체2 (HER2) 음성 (IHC 0, IHC 1+ 또는 IHC 2+/ISH–) 유방암으로 내분비 기반 치료와 진행성 단계에서 최소 두 번의 추가 전신 치료를 받은 성인 환자의 치료
이리노테칸 또는 활성대사체인 SN-38을 함유하는 다른 약물을 이 약으로 대체하거나 이 약을 그러한 약물과 함께 투여해서는 안 된다.
2) 권장 용법∙용량
이 약의 권장 용법·용량은 10 mg/kg를 21일 투여 주기의 제1일과 8일에 주 1회 정맥 주입하는 것으로, 질병진행 또는 허용할 수 없는 독성이 발생할 때까지 투여한다. 10 mg/kg을 초과하는 용량으로 이 약을 투여해서는 안 된다.
이 약은 정맥 내 주입으로만 투여한다. 급속정맥주입(intravenous push 또는 bolus)으로 투여해서는 안 된다.
첫 번째 주입: 3시간에 걸친 주입으로 투여한다. 최초 주입 시에는 주입하는 동안과 주입 후 30분 이상 동안 주입 관련 반응의 징후 또는 증상에 대해 환자를 관찰한다.
후속 주입: 이전의 주입에 내약성이 있었다면, 1-2시간에 걸쳐 주입을 실시한다. 주입하는 동안과 주입 후 30분 이상 동안 환자를 관찰한다.
약물 전처치
이 약을 투여하기 전에 매번, 주입 관련 반응 예방, 화학요법 유발 오심 및 구토(CINV)의 예방을 위하여 전처치약물이 권장된다.
• 주입 전에 해열제, H1과 H2 차단제를 투여하며, 이전에 주입 관련 반응을 경험한 환자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할 수 있다.
• 2가지 또는 3가지 약물 병용요법으로 전처치를 한다(예, 5-HT3(5-Hydroxytryptamine 3) 수용체 길항제 또는 NK1(Neurokinin-1) 수용체 길항제와 필요에 따른 기타 약물과 덱사메타손의 병용).
3) 이상사례시 용량조절
주입 관련 반응
환자에게 주입 관련 반응이 발생하는 경우, 이 약의 주입 속도를 늦추거나 주입을 중지한다. 생명을 위협하는 주입 관련 반응이 발생한 경우, 이 약의 투여를 영구 중단한다.
이상사례로 인한 용량조절
이상사례시 이 약의 용량조절은 표 1에 따라 실시하여야 한다. 이상사례로 인해 용량 감량을 실시한 후에는 이 약을 다시 증량하지 않는다.
표 1: 이상사례로 인한 용량 조절
이상사례 |
발생 |
용량 조절 |
중증 중성구 감소증 |
||
4등급 중성구 감소증 7일 이상, 또는 3-4등급 발열성 중성구 감소증 또는 예정된 투여 시점에, 3-4등급 중성구 감소증으로 인해 1등급 이하로 회복되기 위하여 2주 또는 3주간의 투여 연기 |
1차 |
25% 용량 감량 및 과립구 집락 자극인자(G-CSF) 투여 |
2차 |
50% 용량 감량 및 G-CSF 투여 |
|
3차 |
투여 중단 및 G-CSF 투여 |
|
예정된 투여 시점에, 3-4등급 중성구 감소증으로 인해 1등급 이하로 회복되기 위하여 3 주를 초과하는 투여 연기 |
1차 |
투여 중단 및 G-CSF 투여 |
중증의 비 중성구 감소성 독성 |
||
지속기간을 불문한 4등급 비혈액학적 독성, 또는 항구토제 및 지사제로 조절되지 않는, 투여로 인한 모든 3-4등급 오심, 구토, 설사, 또는 최적의 의학적 관리에도 불구하고 48시간을 초과하여 지속되는 다른 3-4등급 비혈액학적 독성 또는 예정된 투여 시점에, 3-4등급 비 중성구 감소성 혈액학적 독성 또는 비혈액학적 독성으로 인해 1등급 이하로 회복되기 위한 2주 또는 3주간의 투여 연기 |
1차 |
25% 용량 감량 |
2차 |
50% 용량 감량 |
|
3차 |
투여 중단 |
|
3주 내에 1등급 이하로 회복되지 않는 3-4 등급 비중성구 감소성 혈액학적 독성 또는 비혈액학적 독성 발생 |
1차 |
투여 중단 |
1) 중성구 감소증
이 약으로 치료받은 환자에서 중증 또는 생명을 위협하거나 치명적인 중성구 감소증이 발생할 수 있다. 중성구 감소증은 이 약을 투여하는 환자의 64%에서 발생하였다. 3-4등급 중성구 감소증은 49%의 환자에서 발생하였다. 발열성 중성구 감소증은 6%의 환자에서 발생하였다. 중성구 감소증(발열성 중성구 감소증 포함)의 첫 발병까지의 중앙값은 16일이었으며 일부 환자 집단에서는 더 이르게 발생하기도 했다. 환자의 1.4%에서 중성구 감소성 결장염이 발생했다.
어느 주기에서든 제1일에 절대 중성구 수가 1500/mm3 미만이거나 어느 주기에서든 제8일에 중성구 수가 1000/mm3 미만인 경우 또는 중성구 감소성 발열이 있는 경우에는 이 약 투여를 보류한다. 투여주기 중 주기적으로 혈액학적 수치를 모니터링한다. 임상적 필요 또는 표1 (용법ᆞ용량항 참조)에 따라 G-CSF를 투여하고 발열성 중성구 감소증이 있는 경우 지체없이 항감염치료를 시작한다.
2) 설사
이 약은 중증 설사를 유발할 수 있다. 설사는 이 약을 투여한 모든 환자의 64%에서 발생하였고, 3-4등급 설사는 이 약을 투여한 모든 환자의 11%에서 발생하였다. 환자 1명은 설사 후 장 천공이 발생하였다. 탈수 및 그에 따른 급성 신장 손상으로 이어지는 설사는 모든 환자의 0.7%에서 발생하였다.
설사를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수액과 전해질을 투여한다.
예정된 약물 투여 시점에 3-4등급 설사가 있는 경우에는 이 약 투여를 보류하고 1등급 이하로 해소되면 재개한다.
설사 발생 시에는 감염성 원인에 대해 평가하고 음성인 경우에는 즉시 로페라미드를 투여하는데, 처음에 4 mg을 투여하고 이후에는 하루에 최대 16 mg이 넘지 않도록 설사를 할 때마다 2 mg을 투여한다. 설사가 해소된 후 12시간 후에 로페라미드투여를 중단한다. 임상적 필요성에 따라 추가 보조 조치(예, 수액 및 전해질 보충)도 이용할 수 있다.
이 약 투여 시에 과도한 콜린성 반응(예, 복부 경련, 설사, 타액 분비 등)을 나타내는 환자들은 후속 투여 시에 적절한 약물 전처치(예, 아트로핀)를 받을 수 있다.
2. 다음 환자에게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에 대해 중증 과민반응을 경험한 환자
3. 이상사례
다음의 이상사례는 허가사항의 다른 섹션에서 더 자세히 논의된다.
• 중성구 감소증[경고 참조]
• 설사[경고 참조]
• 과민성 및 주입 관련 반응 [일반적 주의 참조]
• 오심 및 구토 [일반적 주의 참조]
• UGT1A1 활성이 감소한 환자에서 이상사례 발생 위험 증가 [일반적 주의 참조]
• 배태자 독성 [일반적 주의 참조]
1) 임상시험 중 발생한 이상사례
‘1.경고’ 및 '4. 일반적 주의' 항에 기술된 통합 안전성 집단은 4건의 임상시험, IMMU-132-01,ASCENT, TROPiCS-02 및 TROPHY에서 이 약에 노출된 환자 1,063명의 노출을 반영한 것으로, mTNBC 환자 366명, HR+,HER2- 유방암 환자 322명, 전이성 요로상피암 환자 180명을 포함하였다. 이 약은 질병이 진행되거나 허용할 수 없는 독성이 있을 때까지 10 mg/kg 용량으로 21일 투여 주기의 제1일 및 8일에 주 1회 정맥 내 주입을 통해 투여되었다. 이 약을 투여한 환자 1,063명에서, 투여 지속기간의 중앙값은 4.1개월이었다(범위: 0-63개월). 이 통합 안전성 집단에서 실험실적 검사 비정상을 포함한 가장 흔한(25% 이상) 이상사례는 백혈구 수 감소, 중성구 수 감소, 헤모글로빈 감소, 설사, 오심, 림프구 수 감소, 피로, 탈모, 변비, 포도당 증가, 알부민 감소, 구토, 식욕감소, 크레아티닌 청소율 감소, 알칼리 인산 분해 효소 증가, 마그네슘 감소, 칼륨 감소, 나트륨 감소 였다.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의 삼중음성유방암
ASCENT 임상시험
이전에 탁산( taxane)계 항암제 및 2가지 이상의 이전 화학요법을 투여 받은 mTNBC 환자를 대상으로 한 무작위배정, 활성약 대조, 공개 시험(ASCENT)을 통해 이 약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환자들은 이 약(n=258) 또는 단일 약물 화학요법(n=224)을 투여받도록 1:1 비율로 무작위 배정되었고, 질병이 진행되거나 허용할 수 없는 독성이 있을 때까지 투여 받았다. 이 약을 투여한 환자에서, 투여 지속기간의 중앙값은 4.4개월이었다(범위: 0-23개월).
중대한 이상사례는 이 약을 투여받은 환자의 27%에서 발생하였다. 이 약을 투여받은 환자의 1%를 초과하여 발생한 중대한 이상사례에는 중성구 감소증(7%), 설사(4%), 폐렴(3%)이 포함되었다. 호흡부전(0.4%)을 포함한 치명적 이상사례는 이 약을 투여받은 환자의 0.4%에서 발생하였다. 5%의 환자에서 이상사례로 인해 이 약이 영구 중단되었다. 이 약을 투여받은 환자의 1% 이상에서 영구 중단을 초래한 이상사례는 폐렴(1%) 및 피로(1%)였다.
이 약의 투여 중지를 초래한 이상사례는 63%의 환자에서 발생하였다. 투여 중지를 초래한 가장 빈번한(5% 이상) 이상사례는 중성구 감소증(46%), 설사(5%) 및 백혈구 감소증(5%)이었다.
이 약의 용량 감량을 초래한 이상사례는 22%의 환자에서 발생하였다. 용량 감량을 초래한 가장 빈번한(4% 초과) 이상사례는 중성구 감소증(9%) 및 설사(5%)였다.
과립구 집락 자극인자(G-CSF)는 이 약을 투여받은 환자의 48%에서 이용되었다.
표 2와 표 3은 ASCENT 임상시험에서 나타난 이상사례와 선택된 실험실적 검사 비정상 결과를 각각 요약한 것이다.
표 2: ASCENT에서 mTNBC 환자의 10% 이상에서 발생한 이상사례
|
이 약 (n =258) |
단일 약물 화학요법 (n=224) |
||
이상사례 |
모든 등급 (%) |
3–4 등급 (%) |
모든 등급 (%) |
3–4 등급 (%) |
혈액 및 림프계 장애 |
||||
중성구 감소증i |
64 |
52 |
44 |
34 |
빈혈ii |
40 |
9 |
28 |
6 |
백혈구 감소증iii |
17 |
10 |
12 |
6 |
림프구 감소증iv |
10 |
2 |
6 |
2 |
각종 위장관 장애 |
||||
설사 |
65 |
11 |
17 |
0.9 |
오심 |
62 |
3 |
26 |
0.4 |
구토 |
33 |
2 |
16 |
1 |
변비 |
37 |
0.4 |
23 |
0 |
복통 |
21 |
3 |
12 |
1 |
구내염 |
10 |
0.8 |
13 |
1 |
전신 장애 및 투여 부위 병태 |
||||
피로 |
52 |
4 |
40 |
9 |
무력증 |
16 |
2 |
13 |
1 |
발열 |
15 |
0.4 |
14 |
2 |
감염 및 기생충 감염 |
||||
요로 감염 |
13 |
0.4 |
8 |
0.4 |
상기도 감염 |
12 |
0 |
3 |
0 |
임상 검사 |
||||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 증가 |
11 |
1 |
10 |
1 |
대사 및 영양 장애 |
||||
식욕 저하 |
28 |
2 |
21 |
1 |
저칼륨혈증 |
16 |
3 |
13 |
0.4 |
저마그네슘혈증 |
12 |
0 |
6 |
0 |
근골격 및 결합 조직 장애 |
||||
등허리 통증 |
16 |
1 |
14 |
2 |
관절통 |
12 |
0.4 |
7 |
0 |
각종 신경계 장애 |
||||
두통 |
18 |
0.8 |
13 |
0.4 |
어지러움 |
10 |
0 |
7 |
0 |
각종 정신 장애 |
||||
불면증 |
11 |
0 |
5 |
0 |
호흡기, 흉곽 및 종격 장애 |
||||
기침 |
24 |
0 |
18 |
0.4 |
피부 및 피하 조직 장애 |
||||
탈모 |
47 |
0 |
16 |
0 |
발진 |
12 |
0.4 |
5 |
0.4 |
소양증 |
10 |
0 |
3 |
0 |
*단일 약물 화학요법에는 다음 중 한 가지 단일 약물이 포함되었다: 에리불린(n=139), 카페시타빈(n=33), 젬시타빈(n=38), 비노렐빈(환자가 2등급 이상의 신경병증을 가진 경우 제외, n=52). 등급은 NCI CTCAE v.5.0에 따라 정하였다. i. 중성구 감소증 및 중성구 수 감소 포함 ii. 빈혈, 헤모글로빈 감소, 적혈구 수 감소 포함 iii. 백혈구 감소증 및 백혈구 수 감소 포함 iv. 림프구 감소증 및 림프구 수 감소 포함 |
표 3: ASCENT에서 mTNBC 환자의 10% 이상에서 발생한 선택된 실험실적 검사 비정상 결과
실험실적 비정상 |
이 약 (n=258) |
단일 약물 화학요법 (n=224) |
||
모든 등급 (%) |
3–4 등급 (%) |
모든 등급 (%) |
3–4 등급 (%) |
|
헤모글로빈 감소 |
74 |
9 |
58 |
6 |
백혈구 감소 |
86 |
41 |
68 |
26 |
중성구 감소 |
79 |
49 |
60 |
37 |
림프구 감소 |
65 |
25 |
47 |
18 |
혈소판 감소 |
19 |
1 |
29 |
2 |
IMMU-132-01 임상시험
이전에 전이성 질병에 대해 2가지 이상의 항암요법을 받았던 mTNBC 환자 108명을 포함한 mTNBC 및 기타 악성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단일군, 공개 시험(IMMU-132-01)에서 이 약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이 약은 질병이 진행되거나 허용할 수 없는 독성이 있을 때까지 최대 10 mg/kg 용량으로 21일 투여 주기의 제1일 및 8일에 주 1회 정맥 내 주입을 통해 투여하였다. 이러한 108명의 환자에서 투여 기간의 중앙값은 5.1개월(범위: 0-51개월)이었다.
중대한 이상사례는 31%의 환자에서 발생하였다. 이 약을 투여받는 환자의 1%를 초과하여 발생한 중대한 이상사례에는 발열성 중성구 감소증(7%), 구토(5%), 오심(3%), 호흡곤란(3%), 설사(4%), 폐렴(3%), 빈혈, 흉막 삼출, 중성구 감소증, 탈수(각각 2%)가 포함되었다.
2%의 환자에서 이상사례로 인해 이 약이 영구 중단되었다. 영구 중단을 초래한 이상사례는 아나필락시스, 식욕부진/피로, 두통이었다(각각 0.9%). 45%의 환자가 투여 중지를 초래한 이상사례를 경험하였다. 투여 중지를 초래한 가장 흔한 이상사례는 중성구 감소증이었다(33%). 용량 감량을 초래한 이상사례는 이 약을 투여한 환자의 33%에서 발생하였으며, 24%는 용량을 1회 감량하였고 9%는 용량을 2회 감량하였다. 용량 감량을 초래한 가장 흔한 이상사례는 중성구 감소증/발열성 중성구 감소증이었다.
IMMU-132-01 시험에서 mTNBC 환자의 10% 이상에서 발생한 이상사례와 선택된 실험실적 검사 비정상 결과를 표 4 및 표 5에 각각 요약하였다.
표 4: IMMU-132-01에서 mTNBC 환자의 10% 이상에서 발생한 이상사례
이상사례 |
이 약 (n=108) |
|
모든 등급 (%) |
3–4 등급 (%) |
|
모든 이상사례 |
100 |
71 |
각종 위장관 장애 |
95 |
21 |
오심 |
69 |
6 |
설사 |
63 |
9 |
구토 |
49 |
6 |
변비 |
34 |
1 |
복통i |
26 |
1 |
점막염ii |
14 |
1 |
전신 장애 및 투여 부위 병태 |
77 |
9 |
피로iii |
57 |
8 |
부종iv |
19 |
0 |
발열 |
14 |
0 |
혈액 및 림프계 장애 |
74 |
37 |
중성구 감소증 |
64 |
43 |
빈혈 |
52 |
12 |
혈소판 감소증 |
14 |
3 |
대사 및 영양 장애 |
68 |
22 |
식욕 저하 |
30 |
1 |
고혈당증 |
24 |
4 |
저마그네슘혈증 |
21 |
1 |
저칼륨혈증 |
19 |
2 |
저인산혈증 |
16 |
9 |
탈수 |
13 |
5 |
피부 및 피하 조직 장애 |
63 |
4 |
탈모 |
38 |
0 |
발진v |
31 |
3 |
소양증 |
17 |
0 |
건성 피부 |
15 |
0 |
각종 신경계 장애 |
56 |
4 |
두통 |
23 |
1 |
어지러움 |
22 |
0 |
신경병증vi |
24 |
0 |
미각이상 |
11 |
0 |
감염 및 기생충 감염 |
55 |
12 |
요로 감염 |
21 |
3 |
호흡기 감염vii |
24 |
3 |
근골격 및 결합 조직 장애 |
54 |
1 |
등허리 통증 |
23 |
0 |
관절통 |
17 |
0 |
사지 통증 |
11 |
0 |
호흡기, 흉곽 및 종격 장애 |
54 |
5 |
기침viii |
22 |
0 |
호흡곤란ix |
21 |
3 |
각종 정신 장애 |
26 |
1 |
불면증 |
13 |
0 |
등급은 NCI CTCAE v 4.0에 따라 정하였다. i. 복부 통증, 팽창, 통증(상복부), 불편감, 압통 포함. ii. 구내염, 식도염, 점막 염증 포함 iii. 피로 및 무기력 포함 iv. 부종; 및 말초, 국소, 안와주위 부종 포함 v. 발진; 반상 구진, 홍반성, 전신 발진; 여드름양 피부염; 피부 장애, 자극, 박탈 포함 vi. 보행 장애, 감각저하, 근력 약화, 지각 이상, 말초 및 감각 신경병증 포함 vii. 하기도 및 상기도 감염, 폐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성 상기도 감염, 기관지염, 호흡기 세포 융합 바이러스 감염 포함 viii. 기침 및 습성 기침 포함 ix. 호흡곤란 및 노작성 호흡 곤란 포함
|
표 5: IMMU-132-01에서 이 약을 투여받는 동안 환자의 10% 이상에서 관찰된 실험실적 검사 비정상 결과
실험실적 비정상
이 약
(n=108)
모든 등급
(%)
3-4등급
(%)
혈액학 |
||
헤모글로빈 감소 |
93 |
6 |
백혈구 감소 |
91 |
26 |
중성구 감소 |
82 |
32 |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증가 |
60 |
12 |
혈소판 감소 |
30 |
3 |
화학 |
||
알칼리 인산분해효소 증가 |
57 |
2 |
마그네슘 감소 |
51 |
3 |
칼슘 감소 |
49 |
3 |
포도당 증가 |
48 |
3 |
아스파르트산 아미노전이효소 증가 |
45 |
3 |
알부민 감소 |
39 |
1 |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 증가 |
35 |
2 |
칼륨 감소 |
30 |
3 |
인 감소 |
29 |
5 |
나트륨 감소 |
25 |
5 |
마그네슘 증가 |
24 |
4 |
포도당 감소 |
19 |
2 |
*ASCENT 시험 및 IMMU-132-01 시험에서, 과민성의 모든 등급 환자는 36.6%, 3 등급 이상의 환자는 1.9%가 보고되었다. 과민성은 치료 약물이 투여된 후 하루가 끝날 때까지 보고되었다. 다음의 대표 용어(Preferred Term, PT)로 코딩된 사례를 포함한다: 호흡곤란; 저혈압; 홍조; 홍반; 흉부 불편감; 천명; 부종; 두드러기; 아나필락시스 반응; 입 궤양 형성(mouth ulceration); 피부 탈락(skin exfoliation); 혀 종창; 인후 긴장(throat tightness)
ASCENT 시험 및 IMMU-132-01 시험에서 흔하게 보고된 이상사례는 다음과 같다:
비인두염(모든 등급: 5.2%, 3 등급 이상: 0.0%), 부비동염(모든 등급: 4.4%, 3 등급 이상: 0.0%), 구강헤르페스(모든 등급: 2.5%, 3 등급 이상: 0.0%), 발열성 중성구 감소증(모든 등급: 6.6%, 3 등급 이상: 6.6%), 저인산혈증(모든 등급: 8.7 %, 3 등급 이상: 5.2%), 저칼슘혈증(모든 등급: 7.1%, 3 등급 이상: 0.8%), 불안(모든 등급: 6.3%, 3 등급 이상: 0.3%), 콧물(모든 등급: 6.6%, 3 등급 이상: 0.0%), 코막힘(모든 등급: 6.0%, 3 등급 이상: 0.0%), 비출혈(모든 등급: 5.2%, 3 등급 이상: 0.0%), 습성 기침(모든 등급: 3.8%, 3 등급 이상: 0.0%), 상기도 기침 증후군(모든 등급: 2.7 %, 3 등급 이상: 0.0%), 위식도역류질환(모든 등급: 5.7%, 3 등급 이상: 0.0%), 근골격성흉부통증(모든 등급: 6.3%, 3 등급 이상: 0.0%), 근육 연축(모든 등급: 5.2%, 3 등급 이상: 0.0%), 배뇨곤란(모든 등급: 4.4%, 3 등급 이상: 0.3%), 혈뇨(모든 등급: 2.7%, 3 등급 이상: 0.3%), 통증(모든 등급: 7.1%, 3 등급 이상: 0.8%), 오한(모든 등급: 5.5%, 3 등급 이상: 0.0%), 혈액 알칼리인산 분해효소 증가(모든 등급: 8.5%, 3 등급 이상: 1.4%), 활성화부분트롬보플라스틴 시간연장(모든 등급: 4.1%, 3 등급 이상: 0.5%)
ASCENT 임상시험과 IMMU-132-01 임상시험에서 드물게 보고된 임상적으로 중대한 이상반응 : 장염 (모든 중증도 등급 : 0.5%, 중증도 등급 3 이상 : 0.5%)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의 HR+, HER2- 유방암
TROPiCS-02 임상시험
이 약의 안전성은 무작위배정, 활성약 대조, 공개 시험 (TROPiCS-02) 을 통해 평가되었다. 이 시험은 CDK4/6 억제제, 내분비 요법, 탁산계 항암제 치료 후 질병이 진행된 경우 및 전이 상태에서 최소 두 가지 화학요법을 받은 경우 (재발이 12개월 이내에 발생한 경우 하나는 선행보조요법 또는 보조요법으로 가능)의 절제 불가능한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HR+, HER2- 유방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이 약(n=268) 또는 단일 약물 화학요법(n=249)을 투여받도록 1:1 비율로 무작위 배정되었고, 질병이 진행되거나 허용할 수 없는 독성이 있을 때까지 투여 받았다 (15. 전문가를 위한 정보 참조). 이 약을 투여한 환자에서, 투여 지속기간의 중앙값은 4.1개월이었다(범위: 0-63개월).
중대한 이상사례는 이 약을 투여받은 환자의 28%에서 발생하였다. 이 약을 투여받은 환자의 1%를 초과하여 발생한 중대한 이상사례에는 설사(5%), 발열성 중성구 감소증(4%), 중성구 감소증(3%), 복통, 결장염, 중성구 감소성 결장염, 폐렴, 구토(각각 2%)가 포함되었다. 부정맥, COVID-19, 신경계 장애, 폐색전증, 패혈성 쇼크(각각 0.4%)를 포함한 치명적 이상사례는 이 약을 투여받은 환자의 2%에서 발생하였다. 6%의 환자에서 이상사례로 인해 이 약이 영구적으로 중단되었다. 이 약을 투여받은 환자의 0.5% 이상에서 영구 중단을 초래한 가장 흔한 이상사례는 무력증, 전신 건강 상태 악화, 중성구 감소증(각각 0.7%)였다.
이 약의 투여 중지를 초래한 이상사례는 66%의 환자에서 발생하였다. 투여 중지를 초래한 가장 흔한 이상사례는 중성구 감소증(50%)이었다.
이 약의 용량 감량을 초래한 이상사례는 환자의 33%에서 발생했다. 용량 감량을 초래한 가장 흔한 이상사례는 중성구 감소증(16%)과 설사(8%)이었다. G-CSF는 이 약을 투여받은 환자의 54%에서 사용되었다.
표 6와 표 7은 TROPiCS-02 임상시험에서 나타난 이상사례와 실험실적 검사 비정상 결과를 각각 요약한 것이다.
표 6: TROPiCS-02에서 HR+, HER2- mBC 환자의 10% 이상에서 발생한 이상사례
|
이 약 (n=268) |
단일 약물 화학요법 (n=249) |
||
이상사례 |
모든 등급 (%) |
3–4 등급 (%) |
모든 등급 (%) |
3–4 등급 (%) |
각종 위장관 장애 |
||||
설사 |
62 |
10 |
23 |
1 |
오심 |
59 |
1 |
35 |
3 |
변비 |
34 |
1 |
25 |
0 |
구토 |
23 |
1 |
16 |
2 |
복통 |
20 |
0 |
14 |
0 |
소화 불량i |
11 |
0 |
6 |
0 |
전신 장애 및 투여 부위 병태 |
||||
피로ii |
60 |
8 |
51 |
4 |
대사 및 영양 장애 |
||||
식욕 저하 |
21 |
2 |
21 |
0 |
저칼륨혈증 |
10 |
2 |
4 |
0 |
근골격 및 결합 조직 장애 |
||||
관절통 |
15 |
0 |
12 |
0 |
각종 신경계 장애 |
||||
두통 |
16 |
1 |
15 |
1 |
호흡기, 흉곽 및 종격 장애 |
||||
호흡곤란iii |
20 |
0 |
17 |
0 |
기침 |
12 |
0 |
7 |
0 |
피부 및 피하 조직 장애 |
||||
탈모 |
48 |
0 |
19 |
0 |
소양증 |
12 |
0 |
2 |
0 |
*단일약물 화학요법은 다음의 단일제를 포함한다. 에리불린 (n=130), 비노렐빈 (n=63), 젬시타빈(n=56), 또는 카페시타빈(n=22). 등급은 NCI CTCAE v5.0.에 따라 정하였다. i. 소화 불량, 위 식도 역류 질환 포함 ii. 피로 및 무기력 포함 iii. 호흡곤란; 노작성 호흡 곤란 포함 |
TROPiCS-02 연구에서의 기타 임상적으로 중요한 이상사례(≤10%)로는 저혈압(5%), 통증(5%), 콧물(5%), 저칼슘혈증(3%), 코막힘(3%), 피부 과다 색소 침착(3%), 결장염 또는 중성구 감소성 결장염(2%), 저나트륨혈증(2%), 폐렴(2%), 단백뇨(1%), 장염(0.4%)이 포함된다.
표 7: TROPiCS-02의 HR+, HER2- mBC 환자에서10% 초과하여 발생한 실험실적 검사 비정상
실험실적 비정상
이 약
(n=268)
단일 약물 화학요법
(n=249)
모든 등급 (%)
3–4 등급 (%)
모든 등급 (%)
3–4 등급 (%)
혈액학 |
||||
백혈구 감소 |
88 |
38 |
73 |
26 |
중성구 감소 |
83 |
53 |
67 |
40 |
헤모글로빈 감소 |
73 |
8 |
59 |
5 |
림프구 감소 |
65 |
21 |
47 |
14 |
혈소판 감소 |
21 |
1 |
30 |
4 |
호산구증 |
13 |
0 |
4 |
0 |
화학 |
||||
포도당 증가 |
37 |
0 |
31 |
0 |
알부민 감소 |
32 |
0 |
27 |
0.4 |
크레아티닌 청소율 감소 |
24 |
2 |
19 |
1 |
알칼리 인산분해효소 증가 |
23 |
0 |
23 |
1 |
칼륨 감소 |
22 |
3 |
12 |
0.4 |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 증가 |
21 |
1 |
31 |
2 |
나트륨 감소 |
19 |
1 |
17 |
0.4 |
마그네슘 감소 |
18 |
0 |
15 |
0 |
인 감소 |
17 |
0 |
10 |
0 |
인 증가 |
16 |
0 |
16 |
0 |
젖산 탈수소효소 증가 |
16 |
0 |
28 |
0 |
아스파르트산 아미노전이효소 증가 |
15 |
2 |
25 |
1 |
칼륨 증가 |
14 |
2 |
9 |
0 |
2) 면역원성
치료용 단백질의 경우 모든 경우에 면역원성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항체 형성의 감지는 검사의 민감도와 특이성에 크게 의존한다. 또한, 검사에서의 항체(중화 항체 포함) 양성률은 검사 방법론, 샘플 처리, 샘플 수집 시기, 동반 약물, 기저 질환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아래에 설명된 연구에서의 항체 발생률과 다른 연구 또는 다른 제품과의 항체 발생률을 비교하는 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
이 약을 투여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임상 연구 전반에서 총 785명 중 9명(1.1%)이 사시투주맙 고비테칸에 대한 항체를 형성했으며, 이 중 6명(약물을 투여받은 전체 환자의 0.8%)이 사시투주맙 고비테칸에 대한 중화 항체를 가지고 있었다. 사용 가능한 데이터에 따르면, 면역원성은 사시투주맙 고비테칸의 효능, 안전성 또는 약동학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일반적 주의
1) 과민성 및 주입 관련 반응
이 약 투여 중 과민성 및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발생되었다.
이 약은 생명을 위협하는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포함한 중증 과민성을 유발할 수 있다. 중대한 증상과 징후는 심정지(cardiac arrest), 저혈압, 천명, 혈관부종, 종창, 폐염증(pneumonitis), 피부반응을 포함한다.
투여 후 24시간 내 과민성은 이 약을 투여한 환자의 35%에서 발생하였다. 3-4등급 과민성은 이 약을 투여한 환자의 2%에서 발생하였다. 이 약의 영구 중단을 초래한 과민성의 발생률은 0.2%였다. 아나필락시스 반응의 발생률은 0.2%였다.
이 약을 투여받는 환자의 주입 반응에 대한 약물 전처치가 권장된다. 이 약 투여 시 아나필락시스를 포함한 주입 관련 반응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과 응급 치료 장비를 즉시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매번 이 약을 주입하는 동안과 각 주입 완료 후 30분 이상 동안 과민성 및 주입 관련 반응에 대해 환자를 면밀히 관찰하도록 한다.
4등급의 주입 관련 반응이 나타나면 이 약의 투여를 영구적으로 중단한다.
2) 오심 및 구토
이 약은 구토를 유발한다. 오심은 이 약을 투여한 모든 환자의 64%에서 발생하였다. 3-4등급 오심은 3%의 환자에서 발생하였다.
구토는 이 약을 투여한 모든 환자의 35%에서 발생하였다. 3-4등급 구토는 이러한 환자의 2%에서 발생하였다.
화학요법 유발성 오심 및 구토(CINV)를 예방하기 위해 2가지 또는 3가지 약물의 병용요법으로 전처치를 실시한다(예, 5-HT3 수용체 길항제 또는 NK1 수용체 길항제 및 필요에 따른 기타 약물과 덱사메타손의 병용).
예정된 약물 투여 시점에 3등급 오심 또는 3-4등급 구토가 있는 경우에는 이 약 투여를 보류하고, 1등급 이하로 해소되면 추가적인 보조 조치와 함께 재개한다.
임상적 필요성에 따라 추가적인 항구토제 및 기타 보조 조치도 이용할 수 있다. 모든 환자에게 집에 가져 갈 약을 제공하면서 오심 및 구토의 예방과 치료에 관한 명확한 지침을 제시해야 한다.
3) UGT1A1 활성이 감소한 환자에서 이상사례 발생 위험 증가
Uridine diphosphate-glucuronosyl transferase 1A1 (UGT1A1)*28 대립유전자에 대한 동형접합 환자의 경우, 이 약 투여 시 잠재적으로 중성구 감소증, 발열성 중성구 감소증 및 빈혈의 위험이 증가되어 있으며 다른 이상사례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이 약을 투여받았으며 UGT1A1 유전자형 결과가 있는 환자 948명에서 중성구 감소증 및 빈혈의 발생률을 분석하였다. UGT1A1 *28 대립유전자의 동형접합 환자(n=112)에서, 3-4등급 중성구 감소증의 발생률은 58%였다. UGT1A1 *28 대립유전자의 이형접합 환자(n=420)에서, 3-4등급 중성구 감소증의 발생률은 49%였다. 야생형 대립유전자의 동형접합 환자(n=416)에서, 3-4등급 중성구 감소증의 발생률은 43%였다. UGT1A1 *28 대립유전자의 동형접합 환자에서, 3-4등급 빈혈의 발생률은 21%였다. UGT1A1 *28 대립유전자의 이형접합 환자에서, 3-4등급 빈혈의 발생률은 10%였다. 야생형 대립유전자의 동형접합 환자에서, 3-4등급 빈혈의 발생률은 9%였다.
발열성 중성구 감소증을 포함한 첫 중성구 감소증까지 걸린 시간의 중앙값은 UGT1A1*28 대립유전자 동형접합 환자에서 9일, UGT1A1*28 대립유전자 이형접합 환자에서 15일, 야생형 대립유전자 동형접합 환자에서 20일이었다. 첫 빈혈까지 걸린 시간의 중앙값은 UGT1A1*28 대립유전자 동형접합 환자의 경우 21일, UGT1A1*28 대립유전자 이형접합 환자의 경우 25일, 야생형 대립유전자 동형접합 환자의 경우 28일이었다.
UGT1A1 활성이 저하된 것으로 알려진 환자의 경우, 이상사례에 대해 면밀히 모니터링한다. 감소된 UGT1A1 효소 활성을 시사하는 것일 수 있는 급성 조발성 또는 비정상적으로 심한 이상사례의 증거가 있는 환자에서는 관찰된 이상사례의 발현, 지속기간 및 중증도에 대한 임상 평가에 근거하여 이 약 투여를 보류하거나 영구 중단하도록 한다.
4) 배태자 독성
작용기전에 근거하여, 임부에게 투여했을 때에 이 약은 최기형성 및/또는 배태아 사망을 유발할 수 있다. 이 약은 유전독성 성분인 SN-38을 함유하고 있으며 빠르게 분화하는 세포를 표적으로 삼는다. 임부 및 가임 여성에게는 태아에 대한 잠재적 위해성에 관하여 조언하도록 한다. 가임 여성에게는 이 약을 투여하는 동안과 최종 투여 후 6개월 동안 효과적인 피임법을 이용하도록 권고한다. 가임 여성 파트너가 있는 남성 환자에게는 이 약을 투여하는 동안과 최종 투여 후 3개월 동안 효과적인 피임법을 이용하도록 권고한다.
5. 상호작용
UGT1A1 억제제
이 약을 UGT1A1 억제제와 함께 투여하면, SN-38에 대한 전신 노출의 잠재적 증가로 인해 이상사례 발생률이 증가할 수 있다. 이 약을 UGT1A1 억제제 (예: 프로포폴, 케토코나졸, EGFR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와 함께 투여하는 것은 피한다.
UGT1A1 유도제
UGT1A1 효소 유도제를 함께 투여받는 환자에서는 SN-38에 대한 노출이 감소할 수 있다. 이 약을 UGT1A1 유도제(예: 카르바마제핀, 페니토인, 리팜피신, 리토나비르, 티프라나비르)와 함께 투여하는 것은 피한다.
이 약을 투여받는 동안 UGT1A1 억제제 또는 유도제를 투여한 환자들로부터의 제한된 데이터에 따르면, 이러한 환자들의 유리 SN-38 노출은 UGT1A1 억제제 또는 유도제를 투여하지 않은 환자들의 노출과 비슷했다.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부
작용기전에 근거하여, 임부에게 투여했을 때에 이 약은 최기형성 및/또는 배태아 사망을 유발할 수 있다. 약물 관련 위해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는 임부에서의 자료는 없다. 이 약은 유전독성 성분인 SN-38을 함유하고 있으며 빠르게 분화하는 세포에 독성이 있다. 임부 및 가임 여성에게는 태아에 대한 잠재적 위해성에 관하여 조언하도록 한다.
근거자료
비임상시험 자료
이 약에 대해 수행된 생식 및 발생독성시험은 없었다.
2) 수유부
이 약 또는 SN-38이 인간의 모유에 존재하는지에 관한 정보, 모유 수유 영아에 미치는 영향이나 모유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정보는 없다. 모유수유 영아에서 중대한 이상사례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으므로, 여성에게는 이 약을 투여하는 동안과 최종 투여 후 1개월 동안 모유수유를 하지 않도록 조언한다.
3) 가임 여성 및 남성
배태자 독성
작용기전에 근거하여, 임부에게 투여했을 때에 이 약은 최기형성 및/또는 배태아 사망을 유발할 수 있다. 이 약은 유전독성 성분인 SN-38을 함유하고 있으며 빠르게 분화하는 세포를 표적으로 삼는다. 임부 및 가임 여성에게는 태아에 대한 잠재적 위해성에 관하여 고지하도록 한다.
임신검사
이 약 투여를 시작하기 전에 가임 여성의 임신 여부를 확인한다.
피임
여성
임신부에게 이 약을 투여할 경우 태아에게 위해를 유발할 수 있다. 가임 여성에게는 이 약을 투여하는 동안과 최종 투여 후 6개월 동안 효과적인 피임법을 이용하도록 권고한다.
남성
유전독성 가능성이 있으므로, 가임 여성 파트너가 있는 남성 환자에게는 이 약을 투여하는 동안과 최종 투여 후 3개월 동안 효과적인 피임법을 이용하도록 권고한다.
불임
여성
비임상시험 결과에 근거할 때, 이 약은 가임 여성에서 수태능을 손상시킬 수 있다.
7. 청소년 및 소아에 대한 투여
청소년 및 소아 환자에서 이 약의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8. 고령자에 대한 투여
65세 이상 고령자에서 용량조절은 필요하지 않다.
TNBC 환자 366명이 이 약물로 치료를 받았으며, 그 중 19%가 65세 이상이었고 3%는 75세 이상이었다. 65세 이상 환자와 젊은 환자 사이에 안전성 및 효과성에 있어 전반적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HR+, HER2- 유방암 환자 322명이 이 약물로 치료를 받았으며, 그 중 26%가 65세 이상이었고 6%는 75세 이상이었다. 65세 이상 환자와 젊은 환자 사이의 효과성에는 전반적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65세 이상 환자의 경우 부작용으로 인한 치료 중단율이 더 높았으며 (14%), 젊은 환자에서는 3%였다.
9. 간장애 환자에 대한 투여
경증 간장애가 있는 환자에게 이 약을 투여할 때에 시작 용량의 조절은 요구되지 않는다. 이 약물의 안전성은 중등도(총 빌리루빈 수치 ULN 1.5 초과 및 3.0 이하) 또는 중증(총 빌리루빈 수치 ULN 3.0 초과) 간장애 환자에서 확립되지 않았다. 이 약물은 간 전이가 없는 AST 또는 ALT 수치 ULN 3 초과 환자 또는 간 전이가 있는 AST 또는 ALT 수치 ULN 5 초과 환자의 경우에는 시험되지 않았다. 이러한 환자들의 시작 용량에 대한 권장사항을 제시할 수 없다.
10. 신장애 환자에 대한 투여
경증 또는 중등증 신장애가 있는 환자에게 이 약을 투여할 때에 시작 용량의 조절은 요구되지 않는다. 이 약은 중증 신장애 또는 말기 신장병(CLcr 30 mL/min 이하) 환자에 대해 연구되지 않았다.
11. 과량투여시의 처치
임상시험에서, 계획된 용량인 최대 18 mg/kg(최대 권장 용량인 10 mg/kg의 약 1.8배)의 이 약을 투여하였다. 이러한 환자에서는 중증 중성구 감소증의 발생률이 더 높게 관찰되었다. 환자에서 과량투여가 발생한 경우, 절대 중성구 수 수치를 면밀히 살피고 환자가 발열, 오한 또는 기타 감염 징후를 경험하는지 여부를 살피도록 한다.
12. 운전 및 기계사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 약은 운전 및 기계 사용 능력에 약간의 영향을 미친다 (예: 어지러움, 피로).
13. 적용상의 주의
(1) 재구성
• 이 약은 세포독성 약물이 포함되어 있다.
• 적용 가능한 특별 취급 및 폐기 절차를 준수하도록 한다.
• 각 투여 주기의 시작 시에(또는 이전 투여 후에 환자의 체중이 10%를 초과하여 변화했다면 그보다 빈번하게) 환자의 체중에 따라 필요한 이 약 용량(mg)을 산출한다.
• 필요한 수의 바이알을 실온 상태가 되도록 둔다.
• 멸균 주사기를 이용하여, 0.9% 염화나트륨 주사액 20 mL를 각각의 바이알 내로 서서히 주입한다. 그에 따른 농도는 10 mg/mL가 될 것이다.
• 바이알을 조심스럽게 빙빙 돌리고 최대 15분 동안 용해되도록 한다. 흔들지 않는다. 용액 및 용기를 볼 수 있을 때마다, 투여 전에 이물질 및 변색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해야 한다. 용액은 눈에 보이는 이물이 없어야 하고 투명하며 노란색이어야 한다. 혼탁하거나 변색된 경우, 재구성한 용액을 이용하지 않는다.
• 즉시 정맥주입용 희석용액으로 조제한다.
(2) 희석
• 환자의 체중에 따라 적절한 용량을 얻기 위해 필요한 이 약 재구성 용액의 필요한 양을 산출한다.
• 이 약의 농도 범위 1.1 mg/mL - 3.4 mg/mL의 적절한 용량을 전달하기 위해 주입 용액의 최종 부피를 결정한다.
• 다른 주입 기반 용액의 이용 시 재구성한 이 약 용액의 안정성이 확인되지 않았으므로, 0.9% 염화나트륨 주사액만 이용해야 한다. 염화 폴리비닐, 폴리올레핀 (폴리프로필렌 그리고/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재질의 주입백을 이용한다.
• 산출된 양의 재구성 용액을 첨가해서, 지정된 농도가 되게 하는 데 필요한 양만큼의 0.9% 염화나트륨 주사액을 최종 주입백에서 빼내어 폐기한다.
• 주사기를 이용하여, 재구성한 이 약 용액의 계산된 양을 바이알에서 취한다. 바이알에 남아 있는 미사용 분량은 폐기한다.
• 거품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재구성한 이 약 용액의 계산된 양을 주입백 안에 서서히 주입한다. 내용물을 흔들지 않는다.
• 즉시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이 약 용액이 들어 있는 주입백은 2°C - 8°C에서 차광하여 최대 24시간 동안 냉장보관할 수 있다. 냉장보관 후에는 희석한 용액을 8시간(주입 시간 포함) 내에 최대 25°C의 실온에서 투여한다.
(3) 얼리거나 흔들지 않는다.
(4) 투여
• 이 약은 정맥 점적 주입으로 투여한다. 주입백을 차광보관한다. 투여가 완료될 때까지 환자에게 투여하는 중에는 주입백을 덮어야 한다. 주입 중에는 주입 튜브를 덮거나 차광 튜브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 주입 펌프를 이용할 수 있다.
• 다른 의약품과 함께 이 약을 혼합하거나 주입하지 않는다.
• 주입 완료 시, 0.9% 염화나트륨 주사액 20 mL를 이용하여 정맥주입 라인을 세척한다.
14.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바이알은 재구성 시까지 차광보관하기 위해 원래의 상자에 담아 2°C - 8°C로 냉장고에 보관한다. 얼리지 않는다.
이 약은 세포독성 약물이 포함되어 있다. 적용 가능한 특별 취급 및 폐기 절차를 준수한다.
자료 제공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도움닥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