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베클루리주정맥주사용동결건조분말(렘데시비르)
‧ 폐렴
‧ 실내공기(room air)에서 산소포화도(SpO2) 94% 이하인 환자
‧ 보조산소 치료가 필요한 환자
‧ 기계환기나 체외막산소요법(ECMO)이 필요한 환자
2) PCR 검사 등을 통해 확진된, 중증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은 경증 및 중등증의 성인 및 소아(체중 40 kg 이상)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환자의 치료
1) 이 약을 투여하기 전과 투여 받는 동안 모든 환자에서 임상적으로 적절하게 간기능 검사를 수행한다(사용상의 주의사항 ‘1. 경고 2) 아미노기전이효소 증가의 위험 증가’, ‘9. 간장애 환자에서의 투여’ 참조).
2) 이 약을 투여하기 전에 모든 환자에서 프로트롬빈 시간을 측정하고 이 약을 투여 받는 동안 임상적으로 적절하게 모니터링한다(사용상의 주의사항 ‘4. 이상반응’ 참조).
2. 투여 용량
1) 성인 및 체중 40 kg 이상의 소아
이 약의 권장 용량은 첫째 날 단회 부하용량으로 200 mg 점적 정맥 투여 후, 둘째 날부터 1일 1회 유지용량으로 100 mg 점적 정맥 투여이다.
2) 생후 28일 이상이고 체중 3 kg 이상 40 kg 미만인 소아
이 약의 권장 용량은 첫째 날 단회 부하용량으로 5 mg/kg 점적 정맥 투여 후, 둘째 날부터 1일 1회 유지용량으로 2.5 mg/kg 점적 정맥 투여이다.
3. 투여 기간
1) 효능효과에서 명시된 증상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입원 환자
● 이 약은 코로나19 양성 진단을 받고 가능한 빨리 투여가 시작되어야 한다.
● 권장 투여 기간은 5일이다. 5일 투여 후 임상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 경우 추가로 최대 5일간 투여(유지용량)할 수 있으며, 전체 투여 기간은 10일 이내로 한다.
2) 중증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은 경증 및 중등증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환자
● 이 약은 코로나19 양성 진단을 받고 가능한 빨리, 그리고 증상 발현 후 7일 이내에 투여가 시작되어야 한다.
● 권장 투여 기간은 3일이다.
4. 투여 방법
이 약은 30분에서 120분에 걸쳐 1일 1회 점적 정맥 투여(IV infusion)한다. 이 약은 다른 경로로 투여하지 않는다.
이 약은 보존제를 함유하지 않는다. 단회 용량 바이알의 미사용 부분은 희석 용액을 조제한 후 폐기하여야 한다(사용상의 주의사항 ‘13.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참조).
5. 신장애 환자
이 약은 투석 중인 환자를 포함한 신장애 환자에서 용량조절을 하지 않는 것이 권장된다. 이 약은 투석 시기와 관계없이 투여될 수 있다 (사용상의 주의사항 5. 일반적 주의 1) 신장 독성 참조).
6. 40kg 이상의 성인 및 소아에서의 약물 조제 및 주입
1) 재구성 지침
● 보관소에서 필요한 수의 단회 용량 바이알을 꺼낸다. 각 바이알에 대해:
● 바이알 당 적절한 크기의 주사기와 바늘을 사용해 19 mL의 멸균 주사용수를 첨가하여 동결건조 분말을 무균 상태에서 재구성하고, 바이알 스토퍼의 중앙에 주사침을 삽입한다..
● 이 약의 동결건조분말을 재구성할 때 주사용 멸균수만 사용해야 한다.
● 멸균 주사용수를 넣을 때 진공상태가 유지되지 않은 경우 바이알을 폐기한다.
● 즉시 30초 동안 바이알을 흔들어준다.
● 2 ~ 3분 동안 바이알의 내용물이 가라앉도록 놓아둔다. 재구성된 결과물은 맑은 용액이어야 한다.
● 바이알의 내용물이 완전히 용해되지 않은 경우, 30초 동안 다시 바이알을 흔들고 2 ~ 3분 동안 내용물이 가라 앉도록 놓아둔다. 바이알의 내용물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필요한 경우 이 절차를 반복한다.
● 재구성 후, 각 바이알에는 100 mg/20 mL (5 mg/mL) 렘데시비르 용액이 들어 있다.
● 재구성된 바이알은 희석 용액 준비를 위해 즉시 사용한다.
2) 희석 지침
부주의로 인한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의해야 한다. 이 약은 보존제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최종 투여액을 조제하는 동안 무균 조작을 실시하며, 가능한 조제 직후 약물을 투여한다.
● 재구성된 주사용 렘데시비르 동결건조분말은 0.9% 주사용 생리식염수 100 mL 또는 250 mL 주입 백에 추가로 희석해야 한다.
● 표 1을 사용하여 주입 백에서 빼낼 0.9% 주사용 생리식염수의 용적을 결정한다.
표 1. 체중 40 kg 이상의 성인과 소아 환자에서 권장되는 주사용 동결건조분말의 희석 지침
렘데시비르 용량
|
사용할 0.9% 주사용생리식염수 주입 백 용적
|
0. 9% 주사용생리식염수 주입 백에서 제거할 식염수 용적
|
재구성한 주사 용액의 필요 용적
|
200 mg (바이알 2개)
|
250 mL
|
40 mL
|
40 mL(2 × 20 mL)
|
100 mL
|
40 mL
|
40 mL(2 × 20 mL)
|
|
100 mg (바이알 1개)
|
250 mL
|
20 mL
|
20 mL
|
100 mL
|
20 mL
|
20 mL
|
● 적절한 크기의 주사기와 바늘을 사용하여 표1에 따라 백에서 필요한 용적의 0.9% 주사용 생리식염수를 빼내고, 빼낸 0.9% 주사용 생리식염수는 폐기한다.
● 표 1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주사기를 사용하여 바이알에서 필요한 용적의 재구성한 주사 용액을 빼내고, 바이알에 남은 미사용 용액은 폐기한다.
● 필요한 용적의 재구성한 주사 용액을 주입 백에 옮겨 담는다.
● 백을 20회 가량 살살 뒤집어 백 안의 용액을 혼합한다. 백을 흔들지 않는다.
● 조제한 희석 용액은 투여 전까지 실온(20 ~ 25℃)에서 최대 24시간 또는 2 ~ 8℃의 냉장고에서 48시간 동안 보관 가능하다.
3) 투여 지침
조제한 희석액은 다른 정맥주사 약물과 동시에 투여하지 않는다. 이 약과 0.9% 주사용 생리식염수 이외의 다른 정맥투여 용액과의 적합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 약을 투여 받는 동안 환자는 모니터링되어야 한다(사용상의 주의사항 ‘1. 경고, 1) 주입 관련 반응 및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포함한 과민증’ 참조).
외래 환경에서 이 약을 투여 받는 환자는 국내 의료 관행에 따라 모니터링되어야 한다.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포함한 중증의 과민증의 치료가 가능한 환경에서 사용해야 한다.
● 희석 용액을 표 2에 기술된 주입 속도로 투여한다.
표 2. 체중 40 kg 이상의 성인과 소아 환자에서 권장되는 주사용 동결건조 분말 희석 용액의 주입 속도
주입 백 용적
|
주입 시간
|
주입 속도
|
250 mL
|
30분
|
8.33 mL/분
|
60분
|
4.17 mL/분
|
|
120분
|
2.08 mL/분
|
|
100 mL
|
30분
|
3.33 mL/분
|
60분
|
1.67 mL/분
|
|
120분
|
0.83 mL/분
|
7. 생후 28일 이상이고 체중 3 kg 이상 40 kg 미만 소아에서의 약물 조제 및 주입
1) 재구성 지침
‘5. 40kg 이상의 성인 및 소아에서의 약물 조제 및 주입, 1) 재구성 지침’에 서술된 절차와 동일한 절차를 따른다.
2) 희석 지침
● 생후 28일 이상이고 체중 3 kg 이상 40 kg 미만의 소아 환자에게는 100 mg/20 mL (5 mg/mL)의 렘데시비르 재구성 용액이 0.9 % 주사용 생리식염수를 사용하여 최종 농도 1.25 mg/mL로 더 희석되어야 한다.
● 1.25 mg/mL의 렘데시비르 희석 용액의 총 요구되는 주입량은 소아 체중 기반의 5 mg/kg 부하용량 및 2.5 mg/kg 유지용량을 기준으로 한다.
● 작은 0.9% 주사용 생리식염수 주입 백(예: 25, 50, 100 mL) 또는 적절한 크기의 주사기가 소아 용량에 사용될 수 있다. 권장 용량은 1.25 mg/mL의 표적 농도를 맞추기 위한 용량에 따른 총 용적으로 IV 주입을 통해 투여된다.
● 주사기 및 주사기 펌프는 50 mL 미만의 용량을 주입할 때 사용할 수 있다.
IV 백을 통한 주입
● 환자에 맞게 계산된 용량에 기반하여 렘데시비르 희석 용액의1.25 mg/mL로 최종 희석되도록 총 주입 용적을 결정한다.
● 희석 용액을 준비하기 위하여 적절한 크기의 주입 백(0.9% 주사용 생리식염수 프리필드 백 또는 비어 있는 백)를 선택한다.
● 0.9% 주사용 생리식염수 프리필드 백을 사용하는 경우, 환자 용량당 필요한 재구성 용액 용량에 해당하는 희석 용액과 렘데시비르 희석 용액의 1.25 mg/mL로 최종 농도를 맞추는데 충분한 양의 희석 용액을 빼내고 폐기한다.
● 적절한 크기의 주사기로 렘데시비르 바이알에서 필요한 용적의 재구성한 렘데시비르를 빼낸다.
● 필요한 용적의 재구성한 렘데시비르를 0.9% 주사용 생리식염수 주입 백에 옮겨 담는다.
백을 20회 살살 뒤집어 백 안의 용액을 혼합한다. 흔들지 않아야 한다.
● 비어 있는 주입 백을 사용하는 경우, 렘데시비르 희석 용액의 1.25 mg/mL로 최종 농도를 맞추는데 충분한 양의 0.9% 주사용 생리식염수를 빼낸 후, 필요한 용적의 재구성 용액을 옮겨 담는다.
● 조제한 희석 용액은 실온(20 ~ 25℃)에서 최대 24시간 또는 2 ~ 8℃의 냉장고에서 48시간 동안 안정하다.
주사기를 통한 주입
● 환자에 맞게 계산된 용량에 기반하여 렘데시비르 희석 용액의 1.25 mg/mL로 최종 희석되도록 총 주입 용적을 결정한다.
● 1.25 mg/mL 렘데시비르 용액의 계산된 총 주입 용적과 동일하거나 더 큰 적절한 크기의 주사기를 선정한다.
● 바이알에서 환자 용량당 필요한 재구성 용액 용량에 해당하는 희석 용액을 주사기로 빼내고, 0.9 % 주사용 생리식염수 필요량을 빼내어 최종 농도 1.25 mg/mL 렘데시비르 희석 용액이 되도록 한다.
● 주사기를 20회 살살 뒤집어 주사기 안의 용액을 혼합한다. 흔들지 않아야 한다.
● 조제한 희석 용액은 즉시 사용해야 한다.
3) 투여 지침
조제한 희석액은 다른 약물과 동시에 투여하지 않는다.
이 약과 0.9 % 주사용 생리식염수 이외의 다른 정맥투여 용액과의 적합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약은 30분에서 120분에 걸쳐 정맥 투여해야 한다.
주입 속도(mL/min)는 총 주입 용적과 총 주입 시간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한다.
이 약을 투여 받는 동안 환자는 모니터링되어야 한다(사용상의 주의사항 ‘1. 경고, 1) 주입 관련 반응 및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포함한 과민증’ 참조).
외래 환경에서 이 약을 투여 받는 환자는 국내 의료 관행에 따라 모니터링되어야 한다.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포함한 중증의 과민증의 치료가 가능한 환경에서 사용해야 한다.
1) 주입 관련 반응 및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포함한 과민증
주입 관련 반응 및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포함한 과민반응이 이 약 투여 중 및 투여 후 나타날 수 있다. 증상 및 징후로 저혈압, 고혈압, 빈맥, 서맥, 저산소증, 발열, 호흡곤란, 쌕쌕거림, 혈관부종, 발진, 구역, 발한, 오한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최대 120분까지 느린 주입 속도가 이러한 증상 및 징후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임상적으로 유의한 과민반응의 증상 및 징후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즉시 투여를 중단하고 적절한 처치를 실시한다. 이 약 또는 이 약의 구성성분에 대한 과민반응을 보인 환자에게는 이 약을 투여하지 말아야 한다.
2) 아미노기전이효소 상승의 위험 증가
아미노기전이효소 상승은 이 약 200 mg용량을 투여 받고 이어 100 mg 용량을 최대 10일간 투여 받은 건강한 대상자들에게서 관찰되었다. 아미노기전이효소 상승의 중증도는 경증(1등급)에서 중등증(2등급)이었고, 이 약의 투여 중단에 따라 회복되었다. 아미노기전이효소 상승은 이 약을 투여 받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환자에서도 보고되었다(사용상의 주의사항 ‘4. 이상반응’ 참조). 아미노기전이효소 상승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의 임상적 특징으로 보고되었으며, 임상시험에서 위약과 연구 약물을 투여 받는 환자 사이에서 발병률이 유사하기 때문에,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환자의 아미노기전이효소 상승에 대한 이 약의 기여도를 식별하기는 어렵다.
모든 환자에게 이 약 투여 시작 전과 투여 받는 동안 임상적으로 적절하도록 간에 대한 실험실적 검사를 수행해야 한다(사용상의 주의사항 ‘1. 경고 2) 아미노기전이효소 상승의 위험 증가', '9. 간장애 환자에서의 투여’ 참조).
• ALT 수치가 정상 상한치의 10배 이상으로 증가하면 이 약 투여를 중단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 ALT 상승이 간 염증의 징후나 증상을 동반할 경우 이 약 투여를 중단한다.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이 약의 구성성분에 과민증이 있는 경우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간장애 환자(‘5. 일반적 주의’, ‘9. 간장애 환자에서의 투여’ 참조)
2) 신장애 환자(‘5. 일반적 주의’, ‘10. 신장애 환자에서의 투여’ 참조)
4. 이상반응
1) 다음의 이상반응은 첨부문서의 다른 항에서 언급되었다.
• 주입 관련 반응 및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포함한 과민증 (사용상의 주의사항 ‘1. 경고’ 참조)
• 아미노기전이효소 증가의 위험 증가 (사용상의 주의사항 ‘1. 경고’ 참조)
2) 임상시험에서의 경험
이 약의 안전성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입원 성인 환자 1,476명을 대상으로 한 4건의 3상 임상시험, 경증에서 중등증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비입원 성인과 소아 환자 279명(12세 이상이고 체중 40 kg 이상)을 대상으로 1건의 3상 임상시험, 건강한 성인 131명을 대상으로 한 4건의 1상 임상시험 및 긴급사용승인 또는 동정적 사용 프로그램에서 이 약을 투여 받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환자에서 평가되었다.
(1) 성인 대상 임상시험
NIAID ACTT-1 임상시험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한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위약대조 임상시험으로 시험약(n=532) 또는 위약(n=516)을 최대 10일간 투여하였다.
이 임상시험에서 이상반응의 수집은 중증(3등급) 또는 잠재적으로 생명을 위협하는(4등급) 이상반응, 중대한 이상반응, 임상시험용의약품의 중단을 야기한 이상반응, 중등증(2등급) 이상의 과민반응으로 제한되었다.
표 1. ACTT-1 임상시험에서 보고된 이상반응 요약
이상반응의 종류, n (%) |
시험군 (N=532) |
위약군 (N=516) |
약물이상반응(3등급 이상) |
41 (8%) |
46 (9%) |
중대한 약물이상반응 |
2 (0.4%)a |
3 (0.6%) |
투여 중단을 야기한 약물이상반응 |
11 (2%)b |
15 (3%) |
a. 발작(n=1), 투여 관련 반응(n=1) b. 발작(n=1), 투여 관련 반응(n=1), 아미노기전이효소 증가(n=3), ALT와 AST 증가(n=1), GFR 감소(n=2), 급성 신손상(n=3) |
GS-US-540-5773 임상시험은 중증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한 무작위배정, 공개 임상시험으로, 시험약을 5일(n=200) 또는 10일(n=197) 투여하였다. 약물이상반응은 5일 투여군 33명(17%), 10일 투여군 40명(20%)에서 보고되었고, 두 군에서 5% 이상 보고된 이상반응은 구역(5일 투여군 5%, 10일 투여군 3%), AST 증가(5일 투여군 3%, 10일 투여군 6%), ALT 증가(5일 투여군 2%, 10일 투여군 7%)였다.
표 2. 5773 임상시험에서 보고된 이상반응 요약
이상반응의 종류, n (%) |
5일 투여군 (N=200) |
10일 투여군 (N=197) |
약물이상반응(모든 등급) |
33 (17%) |
40 (20%) |
중대한 약물이상반응 |
3 (2%)a |
4 (2%)a |
투여 중단을 야기한 약물이상반응 |
5 (3%)b |
9 (5%)b |
a. 아미노기전이효소 증가(n=5), 간효소 증가(n=1), 고아미노전이효소 혈증(n=1) b. 아미노기전이효소 증가(n=4), 간효소 증가(n=2), 간수치 증가(n=2), 고아미노전이효소 혈증(n=1), ALT 증가(n=1), ALT와 AST 증가(n=2), 투여부위 부종(n=1), 발진(n=1) |
GS-US-540-5774 임상시험은 중등증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한 무작위배정, 공개 임상시험으로, 시험약을 5일(n=191), 10일(n=193) 투여하거나 표준치료만을 수행(n=200)하였다. 약물이상반응은 5일 투여군 36명(19%), 10일 투여군 25명(13%)에서 보고되었고, 두 군에서 5% 이상 보고된 이상반응은 구역(5일 투여군 7%, 10일 투여군 4%)이었다.
표 3. 5774 임상시험에서 보고된 이상반응a 요약
이상반응의 종류, n (%) |
5일 투여군 (N=191) |
10일 투여군 (N=193) |
약물이상반응(모든 등급) |
36 (19%) |
25 (13%) |
중대한 약물이상반응 |
1 (<1%)b |
0 |
투여 중단을 야기한 약물이상반응 |
4 (2%)c |
4 (2%)c |
a. 약물에 의한 이상사례는 표준치료군에서 평가되지 않았다. b. 심박수 감소 c. ALT 증가(n=2), ALT와 AST 증가(n=1), 고아미노전이효소 혈증(n=1), 혈중 ALP 증가(n=1), 발진(n=2), 심박수 감소(n=1) |
GS-US-540-9012 임상시험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증상 발현이 7일 이내이고, SARS-CoV-2 감염이 확진되었으며 입원으로 이어질 위험인자를 한가지 이상 가진 비입원 대상자를 대상으로 한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위약대조 임상시험으로, 시험약 (n=279, 성인 276명, 체중 40 kg 이상인 12세 이상 소아 대상자 3명) 또는 위약(n=283, 성인 278명, 12세 이상이고 체중 40 kg 이상인 소아 대상자 5명)을 3일간 투여하였다. 시험약을 투여한 279명의 대상자 중 227명은 외래 환경에서 시험약을 1회 이상 투여 받았고, 44명의 대상자는 가정 의료 환경에서 시험약을 1회 이상 투여 받았고, 8명의 대상자는 전문 요양 시설에서 시험약을 1회 이상 투여 받았다.
약물이상반응(모든 등급)은 시험군 34명(12%)과 위약군 25명(9%)에서 보고되었다. 시험군에서 5% 이상 보고된 약물이상반응은 오심(6%)였다. 두 군 모두에서 치료 중단을 야기한 중대한 약물이상반응이나 약물이상반응은 보고되지 않았다. 가정 의료 환경에서 이 시험약 투여군의 안전성은 GS-US-540-9012 임상시험의 전체 연구 집단에서 관찰된 것과 유사했지만, 이러한 데이터의 결과는 제한적이다.
임상시험 중 성인에서 보고된 흔하지 않은 이상반응
임상시험 중 이 약 투여군에서 2% 미만으로 보고되었으나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 과민 반응
• 대발작
• 발진
실험실수치 이상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위약대조 1상 임상시험인 GS-US-399-5505에서 시험대상자는 이 약을 5일 또는 10일간 투여 받았다. 10일 투여군에서 경증(1등급, n=8)에서 중등증(2등급, n=1)의 ALT 상승이 20명 중 9명에서 보고되었고 투여 중단 후 해소되었다. 5일 투여군(n=9)에서는 ALT 증가가 보고되지 않았다.
ACTT-1, 5773, 5774 시험에서 이 약을 투여 받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환자에서 3% 이상 보고된 실험실수치 이상(3~4등급)은 각각 표4~6에 제시되었다.
표 4. ACTT-1 시험에서 3% 이상으로 보고된 실험실수치 이상(3등급 이상)
실험실수치 이상a, (%) |
시험군 (N=532) |
위약군 (N=516) |
ALT 증가 |
3% |
6% |
AST 증가 |
6% |
8% |
빌리루빈 증가 |
2% |
5% |
크레아티닌 클리어런스 감소b |
18% |
20% |
크레아티닌 증가 |
15% |
16% |
eGFR 감소 |
18% |
24% |
글루코오즈 증가 |
12% |
13% |
헤모글로빈 감소 |
15% |
22% |
림프구 감소 |
11% |
18% |
프로트롬빈 시간 증가 |
9% |
4% |
a. 투여 후 발생한 실험실수치 이상으로, 등급은 DAIDS Ver 2.1을 따름. b. Cockcroft-Gault 식에 근거함. |
표 5. 5773 시험에서 3% 이상으로 보고된 실험실수치 이상(3등급 이상)
실험실수치 이상a, (%) |
5일 투여군 (N=200) |
10일 투여군 (N=197) |
ALT 증가 |
6% |
8% |
AST 증가 |
7% |
6% |
크레아티닌 클리어런스 감소b |
10% |
19% |
크레아티닌 증가 |
5% |
15% |
글루코오즈 증가 |
11% |
8% |
헤모글로빈 감소 |
6% |
8% |
a. 투여 후 발생한 실험실수치 이상으로, 등급은 DAIDS Ver 2.1을 따름. b. Cockcroft-Gault 식에 근거함. |
표 6. 5774 시험에서 3% 이상으로 보고된 실험실수치 이상(3등급 이상)
실험실수치 이상a, (%) |
5일 투여군 (N=191) |
10일 투여군 (N=193) |
표준치료군 (N=200) |
ALT 증가 |
2% |
3% |
8% |
크레아티닌 클리어런스 감소b |
2% |
5% |
8% |
글루코오즈 증가 |
4% |
3% |
2% |
헤모글로빈 감소 |
3% |
1% |
6% |
a. 투여 후 발생한 실험실수치 이상으로, 등급은 DAIDS Ver 2.1을 따름. b. Cockcroft-Gault 식에 근거함. |
GS-US-540-9012 임상시험에서 이 약을 투여 받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환자 중 2% 이상에서 보고된 실험실수치 이상(3-4등급)의 빈도를 표 7에 제시하였다.
표 7. 9012 시험의 비입원 대상자에서 2% 이상으로 보고된 실험실수치 이상(3-4등급)
실험실수치 이상a |
3 일 투여군 (N=279) |
위약군 (N=283) |
크레아티닌 클리어런스 감소b |
6% |
2% |
크레아티닌 증가 |
3% |
1% |
글루코오즈 증가 |
6% |
6% |
림프구 감소 |
2% |
1% |
프로트롬빈 시간 증가 |
1% |
2% |
a. 투여 후 발생한 실험실수치 이상으로, 등급은 DAIDS Ver 2.1 (2017년 7월)을 따름. b. Cockcroft-Gault 식에 근거함. |
(2)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및 신장애가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
US-US-540-5912(REDPINE) 임상시험은 무작위, 이중눈가림, 위약 대조 임상시험으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로 확인된 환자 및 급성 신손상 (AKI; N=60), 만성 신질환 (CKD; eGFR < 30mL/min/1.73m2; N=44) 말기 신장 질환 (ERSD, eGFR < 15mL/min/1.73m2; N=59)으로 혈액 투석 중인 163명의 입원 환자가 최대 5일 동안 이 약을 투여 받았다. 관찰된 이상반응은 성인을 대상으로 한 이 약의 임상시험에서 관찰된 바와 일치했다. 이 약 투여군 13명 (8%), 위약 투여군 3명 (4%)에서 모든 등급의 이상반응이 보고되었다. 가장 흔한 이상반응은 오심(1%), 복통 (1%), 설사(1%) 였다. 중대한 이상반응을 경험한 대상자는 없었다. 한 명의 대상자는 리파아제 증가의 이상반응으로 인해 치료를 영구 중단하였다.
임상시험 GS-US-540-5912에서 이 약을 투여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대상자 중 최소 3%에서 발생한 실험실 수치 이상 (3~4등급)의 빈도가 표 8에 제시되었다.
표 8. 5912 시험에서 입원 대상자의 3% 이상으로 보고된 실험실 수치 이상 (3-4등급)
실험실 수치 이상a |
5일 투여군 (N=163) |
위약군 (N=80) |
림프구 감소 |
27% |
27% |
헤모글로빈 감소 |
25% |
25% |
글루코오즈 증가 |
15% |
19% |
요산 증가 |
11% |
4% |
크레아티닌 증가 |
12% |
14% |
알부민 감소 |
12% |
10% |
리파아제 증가 |
12% |
7% |
프로트롬빈 시간 증가 |
11% |
4% |
프로트롬빈 INR 증가 |
7% |
4% |
AST 증가 |
6% |
4% |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증가 |
5% |
4% |
ALT 증가 |
5% |
6% |
나트륨 증가 |
3% |
3% |
칼슘 증가 |
3% |
0 |
a. 투여 후 발생한 실험실수치 이상으로, 등급은 DAIDS Ver 2.1을 따름. |
(3) 소아 대상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
GS-US-540-5823 (CARAVAN) 임상시험은 생후 28일 이상, 체중 3 kg 이상의 경증, 중등증 및 중증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입원 대상자를 대상으로 한 2/3상 단일군, 공개 임상시험으로, 체중에 따라 이 약을 최대 10일간 투여하였다(n=53).
• 12세 이상이고 체중 40 kg 이상인 대상자(n=12), 12세 미만이고 체중 40 kg 이상인 대상자(n=5): 1일차에 200 mg을 투여 받았고 다음 날에는 100 mg을 1일 1회 투여 받았다.
• 생후 28일 이상이고 체중 20 kg 이상 40 kg 미만인 대상자 (n=12); 생후 28일 이상이고 체중 12 kg 이상 20 kg 미만인 대상자(n=12), 생후 28일 이상이고 체중 3 kg 이상 12 kg 미만인 대상자(n=12): 1일차에는 5 mg/kg 투여, 이후에는 1일 1회 2.5 mg/kg을 투여 받았다.
소아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관찰된 이상반응은 성인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관찰된 약물이상반응과 일치했다. 약물이상반응(모든 등급)은 8명의 대상자(15%)에서 보고되었다. 대상자에서 5% 이상 보고된 약물이상반응은 ALT 증가(6%)였다. 중대한 약물이상반응을 경험한 대상자는 없었다. 2명의 대상자(4%)가 이상반응(ALT 증가[n=1], ALT 증가 및 AST 증가 및 고빌리루빈 혈증[n=1])으로 인해 영구적으로 치료를 중단했다.
5823임상시험에서 이 약을 투여 받고 지정된 검사에 대한 기준선 이후 값이 한 개 이상인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환자 중 3% 이상 보고된 실험실수치 이상(3-4등급)은 헤모글로빈 감소(18%, 9/51), eGFR 감소(18%, 7/40), 크레아티닌 증가(10%, 5/52), 직접 빌리루빈 증가(9%, 2/23), 프로트롬빈 시간 증가(7%, 3/46), APTT 증가 (7%, 3/45), 림프구 감소(6% 2/33), 단백뇨(6%, 2/36), 백혈구 감소(4%, 2/51), ALT 증가(4%, 2/51), 글루코오즈 증가(4%, 2/52), 당뇨(4%, 2/46), 칼륨 감소(4%, 2/52)였다.
(4) 긴급사용승인 경험
다음과 같은 약물이상반응이 긴급사용승인에 하에서 보고되었다.
• 투여부위 혈관 외 유출
• 발진
• 아나필락시스, 혈관부종, 주입 관련 반응, 과민반응
• 아미노기전이효소 상승
3) 시판후 경험
아래의 이상반응이 이 약의 시판후 사용에서 보고되었다.
면역계 장애 : 아나필락시스성 쇼크
5. 일반적 주의
1) 신장 독성
임상적으로 적절한 경우, 환자는 이 약을 투여 전 및 투여 중에 eGFR을 측정해야 한다. GS-US-540-5912 임상시험에서 보고된 중증 신장애 및 ESRD 환자의 안전성 데이터는 이 약의 알려진 안전성 프로파일과 유사했다. 그러나 이 환자 집단에 대한 안전성 데이터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대사체인 GS-441524의 노출이 상당히 높다는 것을 고려할 때 중증 신장애 및 ESRD 환자는 이 약 치료 중 이상반응에 대해 면밀히 모니터링 해야 한다.
2) 히드록시클로로퀸(또는 클로로퀸)과의 병용투여
시험관내 시험에서 클로로퀸이 이 약의 세포 내 대사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관찰되었다. 이 약과 히드록시클로로퀸(또는 클로로퀸)과의 병용투여는 권장되지 않는다.
3) 동성서맥(sinus bradycardia)
시판 후에 동성서맥이 보고되었으며, 대부분 마지막 투여 후 4일 이내 회복되었다.
4) 프로트롬빈 시간 연장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환자를 대상으로 한 ACTT-1 시험에서 프로트롬빈 시간 또는 INR의 연장이 위약군에 비하여 더 빈번히 발생하였다. 출혈 사건 발생률에서는 군간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임상적으로 필요한 경우, 이 약을 투여 받는 동안 프로트롬빈 시간을 모니터링 한다.
6. 상호작용
시험관 내 관찰에 근거한 잠재적 길항작용으로 인해 렘데시비르와 클로로퀸인산염 또는 황산 히드록시클로로퀸의 병용은 권장되지 않는다 (‘5. 일반적 주의’ 참조).
렘데시비르와 그 대사체는 특정 약물 대사 효소 및 수송체의 시험관 내 기질 및/또는 억제제이다. 이 약으로 수행한 약물 상호작용 연구에 따르면 CYP450 3A4 유도제 또는 OATP 1B1/1B3 및 p-gp 억제제와의 임상적으로 유의한 약물상호작용은 예상되지 않는다 ('14. 전문가용 정보’ 참조).
7.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부
이 약의 임부 대상 데이터는 제한적이다 . 대부분의 노출은 임신2기, 3기 또는 알 수 없는 임신기간에 발생했으며 이용 가능한 데이터에 따르면 위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경험이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여성의 임상 상태에 이 약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는 한 임신 초기에는 이 약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임신 2기 및 3기에는 사용을 고려할 수 있다.
가임기 여성의 경우 치료 중 효과적인 피임법의 사용을 고려해야 한다.
랫드 및 토끼를 이용한 배태자독성시험에서 이 약 최대 투여용량인 20 mg/kg(대사체의 AUC 기반으로 평가시 임상 권장 용량의 4배 해당량) 투여시까지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랫드를 이용한 수태능 및 초기배 발생시험에서 이 약 10 mg/kg(대사체의 AUC 기반으로 평가시 임상 권장 용량의 1.3배 해당량) 투여시, 황체수, 배아의 착상 및 생존 배아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2) 수유부
렘데시비르와 그 주요 대사체는 정맥 투여 후 매우 소량이 모유로 배출된다. 모유 전달이 적고 경구 생체이용률이 낮기 때문에 영아에 대한 임상적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임상 경험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치료 중 모유수유에 대한 결정은 개별적인 유익성-위해성 평가를 신중하게 수행한 후에 이루어져야 한다.
8. 소아 및 고령자에서의 투여
1) 소아
이 약은 생후 28일 이상이고 체중 3 kg 이상인 소아 환자 53명에서 안전성 및 유효성이 평가되었다.
신장애가 있는 소아 환자에 대한 이 약의 사용은 성인의 안전성 데이터에 의해 뒷받침된다 (’4. 이상반응, 2)’, ’10. 신장애 환자에서의 투여’ 참조). 경증 또는 중등증의 신장애가 있는 소아 환자에 대한 이 약의 안전성 자료는 제한적이다. 중증 신장애가 있는 소아 환자에 대한 이 약의 안전성 자료는 없다. 투석이 필요한 환자를 포함하여 중증 신장애가 있는 성인의 경우 렘데시비르의 대사체인 GS-441524 및 GS-704277과 베타덱스서포부틸에테르나트륨(SBECD)의 노출이 증가한다. 이 약은 정맥 투여 시 사구체 여과를 통해 제거되는 SBECD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신장 미성숙 또는 신장애가 있는 소아 환자에게 투여할 경우 SBECD에 더 많이 노출될 수 있다.
생후 28일 미만 또는 체중 3 kg 미만인 소아 환자에게서 이 약의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2) 고령자
ACTT-1에서 무작위 배정된 1,062명의 입원한 대상자 중 36%가 65세 이상이었다. GS-US-540-5773 임상시험에서 무작위 배정된 397명의 입원한 대상자 중 42%가 65세 이상이었다. GS-US-540-5774 임상시험에서 무작위 배정된 584명의 입원한 대상자 중 27%가 65세 이상이었다. GS-US-540-9012 임상시험에서 무작위 배정된 562명의 비입원 대상자 중 17%가 65세 이상이었다. 보고된 임상적 경험에서 고령자와 젊은 대상자 간에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65세 이상의 환자에게는 용량 조절이 필요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간, 신장 또는 심장 기능의 감소와 동반 질환 또는 다른 약물 치료의 빈도가 더 크다는 것을 반영하여, 고령의 환자에서 이 약의 투여 및 모니터링에 적절한 주의가 필요하다.
9. 간장애 환자에서의 투여
경증, 중등증, 중증의 간장애 환자 (Child-Pugh Class A, B, C)에 대한 이 약의 용량조절이 권장되지 않는다.
이 약을 투여하기 전과 투여 받는 동안 모든 환자에서 임상적으로 적절하게 간기능 검사를 수행한다.
10. 신장애 환자에서의 투여
투석 중인 환자를 포함하여 모든 단계의 신장애 환자에서 이 약의 용량조절이 권장되지 않는다. 이 약은 투석 시기와 관계없이 투여될 수 있다.
11. 과량투여시의 처치
이 약의 과량투여 경험은 없다. 과량투여시에는 활력징후 모니터링, 임상상태 관찰 등 일반적인 지지 요법을 실시한다. 이 약의 과량투여에 대한 해독제는 없다.
12. 적용상의 주의
이 약은 정맥 주입 전에 희석해야 한다.
이 약은 다른 약물과 동시에 투약해서는 안된다. 주사용 생리식염수 이외의 다른 용액과의 적합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 약은 보존제를 함유하지 않으므로 조제 후 사용되지 않았거나 남은 재구성 용액은 폐기하여야 한다.
13.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주사용 동결건조분말 : 재구성 후 바이알은 희석 용액 준비를 위해 즉시 사용한다.
2) 희석한 주입 용액: 준비된 주입 용액은 20~25℃에서 24시간, 2~8℃에서 48시간 안정하다.
자료 제공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도움닥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