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가다실9프리필드시린지[인유두종바이러스9가(6,11,16,18,31,33,45,52,58형)백신(유전자재조합)]
만 9 ~ 45세 여아 및 여성에서 인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에 의한 다음 질병의 예방:
· 인유두종바이러스 16, 18, 31, 33, 45, 52 및 58형에 의한 자궁경부암, 외음부암, 질암, 항문암
· 인유두종바이러스 6, 11형에 의한 생식기 사마귀(첨형콘딜로마)
및, 인유두종바이러스(HPV) 6, 11, 16, 18, 31, 33, 45, 52 및 58형에 의한 지속적 감염 및 다음의 전암성 또는 이형성 병변의 예방:
· 자궁경부 상피내 선암(Adenocarcinoma in situ, AIS)
·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CIN) 1기, 2기 및 3기
· 외음부 상피내 종양(Vulvar intraepithelial neoplasia, VIN) 2기 및 3기
· 질 상피내 종양(Vaginal intraepithelial neoplasia, VaIN) 2기 및 3기
· 항문 상피내 종양(Anal intraepithelial neoplasia, AIN) 1기, 2기 및 3기
2. 남아 및 남성
만 9 ~ 26세 남아 및 남성에서 인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에 의한 다음 질병의 예방:
· 인유두종바이러스 16, 18, 31, 33, 45, 52 및 58형에 의한 항문암
· 인유두종바이러스 6, 11형에 의한 생식기 사마귀(첨형콘딜로마)
및, 인유두종바이러스(HPV) 6, 11, 16, 18, 31, 33, 45, 52, 58형에 의한 다음의 전암성 또는 이형성 병변의 예방:
· 항문 상피내 종양(Anal intraepithelial neoplasia, AIN) 1기, 2기 및 3기
이 백신은 다음의 접종 일정에 따라 0.5mL씩 근육주사한다.
(1) 만 9~14세
0, 6~12개월 일정으로 2회 접종 또는 0, 2, 6개월 일정으로 3회 접종한다.
(2) 남성 만 15~26세 및 여성 만 15~45세
0, 2, 6개월 일정으로 3회 접종한다.
2회 접종 일정의 경우, 만약 1차 접종 후 5개월 이전에 2차 접종이 이루어지면, 2차 접종 후 최소 4개월 간격을 두고 3차 접종하도록 한다.
3회 접종 일정의 경우, 2차 접종은 1차 접종일로부터 최소 1개월 후, 3차 접종은 2차 접종일로부터 최소 3개월 이후에 이루어져야 하며, 1년 이내에 3회 접종을 모두 완료해야 한다. 이 백신의 유효성은 임상시험에서 1년 이내에 3회 접종을 모두 마친 경우 입증되었다.
2. 접종방법
이 백신은 상완의 삼각근 또는 대퇴부 전외측 상부에 근육주사한다.
정맥주사해서는 안된다. 피하 및 피내주사에 대해서 연구되지 않았으므로 권장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백신접종 후 특히 청소년 및 젊은 성인들에서 실신이 나타날 수 있으며, HPV 백신접종 후에도 때때로 넘어짐을 동반하는 실신이 보고된 바 있다. 그러므로 이 백신 접종 후 15분간 피접종자를 면밀히 관찰하여야 한다.
이 백신은 희석 또는 사용시 용해(reconstitution)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공된 그대로 권장용량 전량을 사용한다.
사용 직전 충분히 흔들어 백신이 균일하게 혼화되도록 하며 이 때의 백신은 백탁의 액체이다. 반드시 투여 전 이물이나 변색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야 한다. 만약 이물이 있거나 변색이 관찰되면 폐기한다.
가다실Ⓡ9주(바이알): 1회 용량 바이알의 경우 개인별로 별도의 멸균된 주사기 및 주사침을 사용하여 접종한다. 보존제, 방부제, 계면활성제가 들어있지 않은 멸균된 주사기와 주사침을 이용해서 이 백신 0.5 mL 을 취한 후 즉시 접종하고, 남은 바이알은 폐기한다.
가다실Ⓡ9프리필드시린지: 프리필드시린지는 1회용으로 1명 이상에게 재사용해서는 안된다. 주사기 내 전량을 접종한다.
이 백신이나 가다실 또는 각 백신의 성분에 과민한 사람 (이 백신이나 가다실 접종 후 과민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추가 접종하지 않는다)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현재 또는 최근 열성 질환이 있는 자(증상의 중증도와 병인에 따라 백신접종을 계속 진행할 것인지, 보류할 것인지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미열 및 경증의 상기도 감염은 백신접종의 금기사항이 아니다.)
2) 저혈소판증이나 기타 혈액응고장애가 있는 환자 (이 백신 근육주사 시 출혈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 투여하여야 한다.)
3. 이상사례
1) 임상시험에서 나타난 이상사례
이 백신의 안전성 평가는 7건의 임상시험(프로토콜 001, 002, 003, 005, 006, 007, 009)에서 이루어졌으며, 이 백신을 1회 이상 접종 받은 15,776명을 대상으로 안전성을 추적 조사하였다. 프로토콜 001과 009에서는 1회 이상의 가다실 접종한 7,378명을 대상으로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백신을 등록일에 최초 접종하고 약 2, 6개월 후에 2차, 3차 접종하였다. 안전성 평가는 이 백신 또는 가다실의 접종 후 14일간 작성된 설문보조자료(백신접종보고카드)를 통해 이루어졌다.
설문보조자료(백신접종보고카드)를 통해 추적 관찰된 이 백신 투여군은 등록일 기준으로 만 16 ~ 26세 여성 9,102명, 만 16 ~ 26세 남성 1,394명, 만 9 ~ 15세 여아와 남아 5,280명(여아: 3,481명, 남아: 1,799명)이며, 가다실 투여군은 등록일 기준으로 만 16 ~ 26세 여성 7,078명, 만 9 ~ 15세 여성 300명이었다.
또한, 이 백신을 투여 받은 만 27 ~ 45 세 여성 640 명과 만 16 ~ 26 세 여성 570 명을 포함하는 임상시험에서 안전성이 평가되었다. 이 백신의 안전성 양상은 두 연령군에서 유사하였다.
임상시험에서 보고된 전신 및 주사부위 약물이상반응
이 백신이나 가다실 투여군에서 1.0% 이상의 발현율로 보고된 백신 관련 이상사례는 표 1 및 2와 같다. 소수의 시험대상자(이 백신 = 0.1%, 가다실 < 0.1%)가 백신접종 후 나타난 이상사례로 인해 시험을 중단하였다. 모든 연령과 성별에서 이 백신과 가다실의 안전성 양상은 유사하였다.
표 1. 모든 임상시험의 이 백신 투여군에서 1% 이상으로 보고된 백신 관련 주사부위 및 전신 약물이상반응*
약물이상반응 |
만 9 ~ 26세의 시험대상자 |
이 백신 (N=15,776) % |
|
주사부위 (접종 후 1 ~ 5일 간) |
|
통증† |
83.2 |
부기† |
36.1 |
홍반† |
30.8 |
가려움 |
4.0 |
멍듦 |
1.6 |
전신 (접종 후 1 ~ 15일 간) |
|
두통 |
13.2 |
발열 |
6.1 |
오심 |
3.2 |
어지러움 |
2.3 |
피로 |
1.9 |
*프로토콜 001, 002, 003, 005, 006, 007, 009에 의한 데이터
†시험대상자가 응답한 약물이상반응을 나타낸다.
N = 안전성 추적조사를 포함한 해당군 시험대상자 수
표 2. 2건의 임상시험의 이 백신 투여군과 가다실 투여군에서 1% 이상으로 보고된 백신 관련 주사부위 및 전신 약물이상반응*
약물이상반응 | 만 16 ~ 26세의 여성 |
만 9 ~ 15세의 여아 |
||
이 백신 투여군 (N=7,071) % |
가다실 투여군 (N=7,078) % |
이 백신 투여군 (N=299) % |
가다실 투여군 (N=300) % |
|
주사부위 (접종 후 1 ~ 5일 간) |
||||
통증† |
89.9 |
83.5 |
89.3 |
88.3 |
부기† |
40.0 |
28.8 |
47.8 |
36.0 |
홍반† |
34.0 |
25.6 |
34.1 |
29.3 |
가려움 |
5.5 |
4.0 |
4.0 |
2.7 |
멍듦 |
1.9 |
1.9 |
‡ |
‡ |
덩어리 |
1.3 |
0.6 |
‡ |
‡ |
출혈 |
1.0 |
0.7 |
1.0 |
2.0 |
혈종 |
0.9 |
0.6 |
3.7 |
4.7 |
온감 |
0.8 |
0.5 |
0.7 |
1.7 |
경화 |
0.8 |
0.2 |
2.0 |
1.0 |
반응 |
0.6 |
0.6 |
0.3 |
1.0 |
전신 (접종 후 1 ~ 15일 간) |
||||
두통 |
14.6 |
13.7 |
11.4 |
11.3 |
발열 |
5.0 |
4.3 |
5.0 |
2.7 |
오심 |
4.4 |
3.7 |
3.0 |
3.7 |
어지러움 |
3.0 |
2.8 |
0.7 |
0.7 |
피로 |
2.3 |
2.1 |
0.0 |
2.7 |
설사 |
1.2 |
1.0 |
0.3 |
0.0 |
근육통 |
1.0 |
0.7 |
0.7 |
0.7 |
입인두 통증 |
1.0 |
0.6 |
2.7 |
0.7 |
상복부통 |
0.7 |
0.8 |
1.7 |
1.3 |
상기도 감염 |
0.1 |
0.1 |
0.3 |
1.0 |
*만 16 ~ 26세 여성은 프로토콜 001에 의한, 만 9 ~ 15세 여아는 프로토콜 009에 의한 데이터
†시험대상자가 응답한 약물이상반응을 나타낸다.
‡주사부위 멍듦 및 덩어리는 만 9 ~ 15세의 여아에서 보고되지 않았다.
N = 해당군 시험대상자 수
시험대상자가 응답한 전신 및 주사부위 약물이상반응
임상시험기간 동안 시험대상자들에게 백신 매회 접종 후 5일간 설문보조자료(백신접종보고카드)에 체온과 주사부위 통증, 부기 및 홍반에 대해 기록하도록 하였다. 이 백신 매 접종 후 5일 이내에 발생하였다고 시험대상자가 응답한 약물이상반응의 발현율과 중증도는 표 3과 같다.
표 3. 모든 임상시험에서 백신접종 후 발생한 것으로 시험대상자가 응답한 전신 및 주사부위 약물이상반응에 대한 평가* (접종 후 1 ~ 5일 간)
응답한 전신 약물이상반응 |
중증도 |
1차 접종 N=15,614 % |
2차 접종 N=15,243 % |
3차 접종 N=15,062 % |
3회 중 1회 이상 N=15,676 % |
체온 |
< 37.8 ℃ (100.0 ℉) |
97.1 |
97.4 |
96.9 |
92.5 |
≥ 37.8 ℃ (100.0 ℉) < 38.9 ℃ (102.0 ℉) |
2.5 |
2.3 |
2.5 |
6.3 |
|
≥ 38.9 ℃ (102.0 ℉) < 39.9 ℃ (103.8 ℉) |
0.3 |
0.3 |
0.5 |
1.1 |
|
≥ 39.9 ℃ (103.8 ℉) < 40.9 ℃ (105.6 ℉) |
0.1 |
0.1 |
0.1 |
0.2 |
|
≥ 40.9 ℃ (105.6 ℉) |
0.0 |
0.0 |
0.0 |
0.0 |
|
응답한 주사부위 약물이상반응 |
중증도 |
1차 접종 N=15,773 |
2차 접종 N=15,549 |
3차 접종 N=15,378 |
3회 중 1회 이상 N=15,776 |
통증 |
경증 |
52.3 |
46.7 |
44.4 |
51.1 |
중등도 |
10.8 |
15.1 |
16.7 |
28.5 |
|
중증 |
0.6 |
1.4 |
2.1 |
3.5 |
|
부기† |
경증 |
9.6 |
14.7 |
17.9 |
24.8 |
중등도 |
1.7 |
3.7 |
4.6 |
7.3 |
|
중증 |
0.8 |
1.6 |
2.5 |
4.0 |
|
홍반† |
경증 |
8.7 |
13.6 |
16.1 |
24.7 |
중등도 |
0.9 |
2.0 |
2.5 |
4.4 |
|
중증 |
0.2 |
0.5 |
1.1 |
1.7 |
*프로토콜 001, 002, 003, 005, 006, 007, 009에 의한 데이터
†부기와 홍반의 중증도는 크기(인치)로 측정: 경증(>0 이고 ≤1); 중등도(>1 이고 ≤2); 중증(>2).
N = 안전성 추적조사를 포함한 해당군 시험대상자 수
이 백신의 임상시험에서 나타난 중대한 이상사례
이 백신에 대한 7건의 임상시험에서 전 시험기간 동안 중대한 이상사례가 수집되었다. 이 백신을 접종 후 안전성을 추적 조사한 15,778명의 시험대상자 중 356명(2.3%)이 중대한 이상사례를 보고하였다. 이 중 4명이 백신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 중대한 이상사례를 1개 이상 보고하였다. 임상시험 기간 동안 발생하였던 4건의 백신 관련 중대한 이상사례로는 발열, 백신에 대한 알레르기, 천식발작, 두통이 보고되었다.
가다실 접종 후 이 백신의 접종에 대한 임상시험
프로토콜 006 임상시험에서 가다실 3회 접종을 마친 만 12 ~ 26세의 여아 및 여성 시험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이 백신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가다실의 마지막 접종일로부터 이 백신의 최초 접종일 사이의 시간 간격은 약 12 ~ 36개월이었다. 안전성 평가는 이 백신 또는 위약을 접종 받은 시험대상자들이 매 접종 후 14일 동안 작성한 설문보조자료(백신접종보고카드)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 시험에서 이 백신 투여군은 608명, 위약 투여군은 305명이었다. 이 백신을 투여받은 시험대상자 중 소수(0.5%)가 약물이상반응으로 인해 시험을 중단하였다. 이 백신 투여군에서 발현율이 1.0% 이상이고 위약 투여군에 비해 높은 발현율을 나타낸 백신 관련 이상사례는 표 4와 같다. 이전에 가다실 백신접종을 한 시험대상자와 HPV 백신접종을 하지 않은 시험대상자들에서 이 백신의 안전성 양상은 유사하였다.
표 4. 이전에 가다실 백신접종을 한 만 12 ~ 26세 사이의 여아 및 여성에서 이 백신 접종 후 발현율이 1% 이상이고 위약 투여군에 비해 높은 백신 관련 주사부위 및 전신 약물이상반응*
약물이상반응 | 이 백신 투여군 (N=608) % |
위약 투여군 (N=305) % |
주사부위 (접종 후 1 ~ 5일 간) |
||
통증† |
90.3 |
38.0 |
부기† |
49.0 |
5.9 |
홍반† |
42.3 |
8.5 |
가려움 |
7.7 |
1.3 |
혈종 |
4.8 |
2.3 |
반응 |
1.3 |
0.3 |
덩어리 |
1.2 |
0.7 |
전신 (접종 후 1 ~ 15일 간) |
||
두통 |
19.6 |
18.0 |
발열 |
5.1 |
1.6 |
오심 |
3.9 |
2.0 |
어지러움 |
3.0 |
1.6 |
상복부통 |
1.5 |
0.7 |
인플루엔자 |
1.2 |
1.0 |
*이 백신 투여군과 위약 투여군은 프로토콜 006에 의한 데이터
†시험대상자가 응답한 약물이상반응을 나타낸다.
N = 해당군 시험대상자 수
다른 백신과의 병용투여에 대한 임상시험
임상시험에서 다른 백신들과 병용투여했을 때의 이 백신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이 백신을 Repevax[흡착 디프테리아, 파상풍톡소이드, 정제 백일해 및 불활화 소아마비 혼합백신(Diphtheria, Tetanus, Pertussis (acellular, component) and Poliomyelitis (inactivated) Vaccine, (adsorbed, reduced antigen(s) content), dTap-IPV)], 아다셀주[성인용 흡착 디프테리아, 파상풍톡소이드 및 정제 백일해 혼합백신(Tetanus Toxoid, Reduced Diphtheria Toxoid and Acellular Pertussis Vaccine Adsorbed, Tdap)], 메낙트라주[(수막구균 A, C, W135, Y) - DT 단백접합백신(Meningococcal (Groups A, C, Y and W-135) Polysaccharide Diphtheria Toxoid Conjugate Vaccine)]과 이 백신을 동시에 접종했을 때, 이 백신의 단독 접종에 비해 이 백신을 접종한 부위에서의 주사부위 부기가 증가하였다. 다른 백신과 동시에 접종했을 때의 주사부위 부기는 대부분 경증에서 중등도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2) 시판 후 이상사례
시판 후 이상사례들은 불특정 다수에서 자발적으로 보고되었으므로 발생빈도 또는 이 백신 접종과의 상관관계를 판정하기 어렵다.
이 백신과 가다실의 안전성 프로파일은 유사하다. 이 백신은 가다실과 동일한 4개의 HPV 유형에 대한 HPV L1 단백질을 포함하고 구성 성분이 유사하므로, 가다실의 시판 후 이상사례는 이 백신과 관련이 있다.
가다실 9
임상시험에서 보고된 약물이상반응 이외에, 다음의 이상사례가 이 백신의 시판 후 사용 동안 자발적으로 보고되었다.
- 신경계: 때때로 긴장-간대성 움직임을 수반하는 실신
- 위장관계: 구토
가다실
또한, 다음의 시판 후 이상사례가 가다실에 대하여 자발적으로 보고되었다.
- 감염 및 체내침입: 연조직염
- 혈액 및 림프계: 특발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림프절병증
- 면역계: 아나필락시스 또는 아나필락시스양반응을 포함하는 과민반응, 기관지연축, 두드러기
- 신경계: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 길랑바레증후군 (Guillain-Barré 증후군)
- 근골격계 및 결합조직: 관절통, 근육통
- 주사부위 및 전신: 무력증, 오한, 권태
3) 재심사에 따른 국내 시판 후 조사 결과
국내에서 재심사를 위하여 6년 동안 만 9~45세 여아 및 여성과 만 9~26세 남아 및 남성 총 3,06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 후 조사 결과, 이상사례의 발현율은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5.39% (165/3,061명, 총 331건)로 보고되었다. 이 중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중대한 약물이상반응 및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은 발현 빈도에 따라 아래 표에 나열하였다.
|
중대한 약물이상반응 0.00%(0명, 0건) |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 0.72%(22/3,061명, 25건) |
|
흔하지 않게 (≥0.1% 이고 <1%) |
전신 장애 및 투여 부위 병태 |
- |
전신 통증, 말초 종창 |
드물게 (≥0.01% 이고 <0.1%) |
전신 장애 및 투여 부위 병태 |
- |
열감, 전신 부종, 백신 접종 부위 분비물, 백신 접종 부위 불편감, 백신 접종 부위 감각 저하, 백신 접종 부위 발적 |
생식계 및 유방 장애 |
- |
월경 사이 출혈 |
|
각종 눈 장애 |
- |
결막 충혈, 시야 흐림 |
|
각종 위장관 장애 |
- |
복통, 소화 불량 |
|
근골격 및 결합 조직 장애 |
- |
근골격 경직 |
|
각종 신경계 장애 |
- |
감각 저하, 지각 이상 |
|
피부 및 피하 조직 장애 |
- |
소양증 |
|
각종 심장 장애 |
- |
두근거림 |
|
각종 정신 장애 |
- |
불면 |
4) 국내 시판 후 이상사례 분석평가 결과
국내 시판 후 이상사례(재심사 이상사례 포함) 보고자료(1989-2022.6.30.)를 토대로 실마리정보 분석·평가 결과 추가적으로 확인된 이상사례는 다음과 같다. 다만, 이로써 곧 해당성분과 다음의 이상사례 간에 인과관계가 입증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 감염 및 기생충 감염: 주사 부위 농양
● 전신 장애 및 투여 부위 병태 : 말초 부종
● 피부 및 피하 조직 장애 : 홍반
4. 일반적 주의
1) 다른 백신과 마찬가지로 이 백신을 접종받은 모든 피접종자가 면역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2) 이 백신은 진행 중인 외부 생식기 병변, 자궁경부암, 외음부암, 질암, 항문암,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CIN), 외음부 상피내 종양(VIN), 질 상피내 종양(VaIN), 항문 상피내 종양(AIN)의 치료를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3) 이 백신은 인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에 의한 것이 아닌 질병은 예방하지 않으며, 백신에 포함되지 않은 HPV 유형에 의한 질병에 대해서도 예방하지 않는다.
4) 다른 주사용 백신과 마찬가지로 백신 투여 후 드물게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나타나는 경우 적절한 치료가 즉시 이루어져야 한다.
5) 면역억제제의 사용, 유전적 결함, 사람 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 또는 기타의 원인에 의해 면역 반응이 저해되어 있는 경우 백신접종에 의한 항체 반응이 감소될 수 있다(5. 상호작용 참조).
5. 상호작용
1) 다른 백신과의 병용투여
임상시험 결과, 이 백신은 메낙트라주[수막구균 A, C, W135, Y) - DT 단백접합백신(Meningococcal(Groups A, C, Y and W-135) Polysaccharide Diphtheria Toxoid Conjugate Vaccine, MCV4)], 아다셀주[성인용 흡착 디프테리아, 파상풍톡소이드 및 정제 백일해 혼합백신(Tetanus Toxoid, Reduced Diphtheria Toxoid and Acellular Pertussis Vaccine Adsorbed, Tdap)], Repevax[흡착 디프테리아, 파상풍톡소이드, 정제 백일해 및 불활화 소아마비 혼합백신(Diphtheria, Tetanus, Pertussis (acellular, component) and Poliomyelitis (inactivated) Vaccine, (adsorbed, reduced antigen(s) content), dTap-IPV)]과 동시에 접종할 수 있다(단, 각각 다른 부위에 주사할 것).
2) 호르몬성 피임제
P001, P002 임상시험에서 이 백신을 접종받은 만 16 ~ 26세의 여성 7,269명중 60.2%가 백신접종 기간 동안 호르몬성 피임제를 복용하였다. 호르몬성 피임제는 이 백신의 면역 반응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3) 스테로이드제
방사선 치료, 항대사제, 알킬화제, 세포독성제 및 생리학적 투여량 이상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투여를 포함하는 면역 억제 요법을 받고 있는 경우, 백신접종에 대한 면역 반응이 감소할 수 있다(4. 일반적 주의 참조).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부
암컷 랫드에서의 시험
이 백신을 암컷 랫드에게 사람 권장용량의 약 240배에 준하는 용량(mg/kg 기준)을 투여하여 생식독성시험을 한 결과, 이 백신은 암컷의 수태능을 저해하지 않았고 태자에게도 이상이 없었다.
랫드를 사용하여 이 백신이 배태자, 이유 전후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을 시행한 결과, 교배, 수태능, 임신, 분만, 수유, 배태자 및 이유 전후의 발달에 아무런 이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백신과 관련된 태자의 선천성 기형이나 다른 기형발생의 증거는 찾아볼 수 없었다. 또한, 사람 권장용량의 약 160배에 준하는 용량(mg/kg 기준)을 투여하였을 때에도 출생자의 발달, 행동양상, 생식능 및 수태능에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임신한 랫드에게 이 백신을 1회 또는 다회 근육주사했을 때, HPV 6, 11, 16, 18, 31, 33, 45, 52 및 58형에 대한 특이적 항체 반응이 유도되었고, 해당 HPV 유형에 대한 각 항체는 수태 및 수유 중에 출생자에서 검출되었다.
사람에서의 임상시험
임부를 대상으로 한 적절한 비교임상시험은 실시된 바 없다.
임신 중 이 백신의 접종은 피하도록 한다. 접종 기간 중 임신하였거나, 임신 계획이 있는 여성에게는 임신 상태가 끝날 때까지 남은 접종을 중단하거나 지연하도록 권고하여야 한다.
임상시험 시, 여성 시험대상자들은 임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매 접종 전 혈액 검사나 소변 검사를 시행하였고, 이 백신의 3차 접종이 완결되기 전 임신한 여성에게는 임신 상태가 끝날 때까지 백신접종을 지연하였다.
임상시험 기간 동안 임신의 결과가 알려진 전체 임신 중 이상임신결과(자연유산, 만기태아사망 및 선천성기형, 단 선택유산은 제외)의 비율은 이 백신 투여군과 가다실 투여군에서 각각 12.9%(174건/1,353건), 14.4%(187건/1,303건)이었다. 관찰된 이상임신결과의 비율은 일반적으로 임신한 여성들에게서 나타나는 결과와 동일하였다.
추가적인 소집단 분석에서 이 백신 또는 가다실 투여로부터 30일 이내 또는 30일 이후의 임신한 경우를 평가한 결과, 30일 이내에 임신한 경우 이 백신 투여군 및 가다실 투여군에서 선천성 기형이 관찰되지 않은 반면, 30일 이후에 임신한 경우 이 백신 투여군과 가다실 투여군에서 각각 30건, 24건의 선천성 기형이 관찰되었다. 관찰된 기형의 종류는 임신 시점과 무관하게 일반적으로 임신한 여성에게서 나타나는 기형의 종류와 동일하였다.
백신접종 후 30일 이내에 임신한 경우, 결과가 알려진 전체 임신 중 자연유산(선택유산은 제외)의 비율은 이 백신 투여군과 가다실 투여군에서 각각 27.4%(17건/62건), 12.7%(7건/55건)이었다. 30일 이후에 임신한 경우, 그 비율은 이 백신 및 가다실 투여군에서 각각 10.9%(105건/960건), 14.6%(136건/933건)이었다.
시판 후 이상사례
이 백신은 가다실과 조성이 유사하며, 4개의 동일한 HPV 유형에 대한 HPV L1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가다실의 시판 후 이상임신 결과는 이 백신과 관련이 있다.
가다실
미국, 캐나다, 프랑스에서 실시한 6년 동안의 시판 후 임신 등록 연구에 가다실 피접종자 중 의도치않게 마지막 월경기간으로부터 1개월 이내 또는 임신기간 중 가다실에 노출된 2,942명의 여성이 등록되었다. 이 중 2,566명이 추적조사 되었으며, 선택적 유산 (107건), 자궁외임신 (5건), 추적불능 (814건)을 제외한 총 1,640건의 임신 건의 결과가 확인되었다. 이 중 유산 사례는 6.8% (111건/1,640건), 생존 출생 영아 중 주 선천성 기형(Major Congenital Anomalies) 사례가 2.4% (37건/1,527건)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시판 후 빈도 결과는 예측되었던 빈도와 동등한 수준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백신의 접종이 생식능, 임신 또는 유아에 유해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없다.
2) 수유부
이 백신은 수유부에게 접종할 수 있지만, 이 백신에 의해 유도된 백신 항원 또는 항체가 모유로 이행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이 백신에 대한 임상시험의 백신접종 기간 동안 총 92명의 만 16 ~26세 여성이 수유를 하였다. 백신접종 기간 동안 수유를 받은 유아들에게서 백신과 관련된 중대한 이상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7. 소아에 대한 투여
만 9세 미만의 소아에 대한 이 백신의 안전성과 유효성은 평가된 바 없다.
8. 고령자에 대한 투여
만 65세 이상의 성인에 대한 이 백신의 안전성과 유효성은 평가된 바 없다.
9. 과량투여
이 백신을 권장량보다 과량으로 투여한 경우의 이상사례는 보고된 바 없다.
10.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이 백신은 냉장상태에서 꺼낸 후 가능한 빨리 투여한다. 냉장고에서 꺼낸 후(8℃ ~ 25℃의 온도) 72시간(여러 번 꺼냈을 경우 냉장고에서 꺼낸 총 누적 시간)이 지나기 전에 이 백신을 투여한다. 0℃ ~ 2℃에 노출되는 경우, 노출된 총 누적시간이 72시간까지는 허용될 수 있으나, 이 보관 조건은 권장되지 않는다.
2) 만약 얼어있거나, 이물이 있는 경우 또는 변색이 관찰된 경우에는 폐기한다.
자료 제공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도움닥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