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품목기준코드 : 201506367
[의약품] 퀴로신점이액(오플록사신)(수출용)
품목구분
의약품
제품명
퀴로신점이액(오플록사신)(수출용)
업체명
영일제약(주)
품목구분
의약품
품목분류
[01320]이비과용제
주성분
오플록사신
첨가제
총량 : 이 약 1mL 중|성분명 : 오플록사신|분량 : 3|단위 : 밀리그램|규격 : USP|성분정보 : |비고 :
효능효과
포도상구균속, 연쇄상구균속, 프로테우스속, 녹농균, 인플루엔자균과 같은 이 약 감성균에 의한 다음 감염증 : 중이염, 외이염
용법용량
- 성인 : 1회 6-10방울 1일 2회 점이한다.
- 점이후 약 10분간 이욕을 한다.
-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 점이후 약 10분간 이욕을 한다.
-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사용상주의사항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이 약 및 기타 퀴놀론계 약물에 과민증 및 그 병력이 있는 환자
2. 부작용
1) 과민증 : 심혈관계 허탈, 의식소실, 혈관부종(후두, 인두, 얼굴), 기도폐쇄, 호흡곤란, 두드러기, 가려움증 등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2) 외이염인 경우 : 가려움, 어지러움, 이통이 나타날 수 있다.
3) 외이염이외의 질환인 경우 : 미각이상, 이통, 가려움, 지각이상, 발진, 어지러움, 자극감. 구역, 구토, 구갈, 두통, 이루, 이명, 발열이 나타날 수 있다.
4) 청각ㆍ전정장애, 청력저하, 균교대증이 나타날 수 있다.
3. 일반적 주의
1) 내성균의 발현등을 방지하기 위해 원칙적으로 감수성을 확인하고 질병의 치료상 필요한 최소한의 기간만 투여한다.
2) 이 약의 사용 시에는 4주간의 투여를 표준으로 하고, 그 후의 계속적인 투여에 대해서는 신중히 한다.
3) 이 약의 장기 사용에 의해 진균등 비감수성균의 과잉 성장을 초래할 수 있다. 중복 감염시 투여를 중지하고 다른 요법으로 대치한다.
4) 치료 후에도 이루가 계속되거나 6개월 이내에 재발할 경우 진주종(cholesteatoma), 이물, 종양같은 근원적 원인을 제거하는 다른 방법이 추천된다.
5) 이 약을 포함한 전신 퀴놀론계 약물은 1회 투여로도 과민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발진 등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나면 투여를 중지하고 전문가에게 상의한다.
6) 중이염에 있어서 염증이 중이점막에 국한되어 있는 경우에 이 약 점이에 의한 국소적 치료를 적용한다. 그러나 염증이 고실 주변에까지 미칠 경우에는 국소적 치료 이외에 경구제등에 의한 치료를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부에게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2) 수유부에게 투여시에는 수유를 중단하거나 이 약의 투여를 중지한다.
5. 소아에 대한 투여
1세 이하 영아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6. 적용상의 주의
1) 점이용으로만 사용한다.
2) 사용시 약액의 온도가 낮으면 어지러움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사용 시에는 가능한 한 체온에 가까운 상태로 사용한다.
7. 기타
경구투여한 경우 동물실험(어린 강아지, 어린 랫트)에서 관절 이상이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다.
이 약 및 기타 퀴놀론계 약물에 과민증 및 그 병력이 있는 환자
2. 부작용
1) 과민증 : 심혈관계 허탈, 의식소실, 혈관부종(후두, 인두, 얼굴), 기도폐쇄, 호흡곤란, 두드러기, 가려움증 등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2) 외이염인 경우 : 가려움, 어지러움, 이통이 나타날 수 있다.
3) 외이염이외의 질환인 경우 : 미각이상, 이통, 가려움, 지각이상, 발진, 어지러움, 자극감. 구역, 구토, 구갈, 두통, 이루, 이명, 발열이 나타날 수 있다.
4) 청각ㆍ전정장애, 청력저하, 균교대증이 나타날 수 있다.
3. 일반적 주의
1) 내성균의 발현등을 방지하기 위해 원칙적으로 감수성을 확인하고 질병의 치료상 필요한 최소한의 기간만 투여한다.
2) 이 약의 사용 시에는 4주간의 투여를 표준으로 하고, 그 후의 계속적인 투여에 대해서는 신중히 한다.
3) 이 약의 장기 사용에 의해 진균등 비감수성균의 과잉 성장을 초래할 수 있다. 중복 감염시 투여를 중지하고 다른 요법으로 대치한다.
4) 치료 후에도 이루가 계속되거나 6개월 이내에 재발할 경우 진주종(cholesteatoma), 이물, 종양같은 근원적 원인을 제거하는 다른 방법이 추천된다.
5) 이 약을 포함한 전신 퀴놀론계 약물은 1회 투여로도 과민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발진 등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나면 투여를 중지하고 전문가에게 상의한다.
6) 중이염에 있어서 염증이 중이점막에 국한되어 있는 경우에 이 약 점이에 의한 국소적 치료를 적용한다. 그러나 염증이 고실 주변에까지 미칠 경우에는 국소적 치료 이외에 경구제등에 의한 치료를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부에게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2) 수유부에게 투여시에는 수유를 중단하거나 이 약의 투여를 중지한다.
5. 소아에 대한 투여
1세 이하 영아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6. 적용상의 주의
1) 점이용으로만 사용한다.
2) 사용시 약액의 온도가 낮으면 어지러움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사용 시에는 가능한 한 체온에 가까운 상태로 사용한다.
7. 기타
경구투여한 경우 동물실험(어린 강아지, 어린 랫트)에서 관절 이상이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다.
도움닥 등록일 : 2023-06-29 14:30:02
자료 제공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도움닥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