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품목기준코드 : 201110137
[의약품] 라모필름오디에프(라모세트론염산염)(수출용)
품목구분
의약품
제품명
라모필름오디에프(라모세트론염산염)(수출용)
업체명
광동제약(주)
품목구분
의약품
품목분류
[02350]최토제, 진토제
주성분
라모세트론염산염
첨가제
총량 : 1장 (45mg) 중|성분명 : 라모세트론염산염|분량 : 0.1|단위 : 밀리그램|규격 : 별규|성분정보 : |비고 :
효능효과
항암제 투여에 의한 소화기증상(구역, 구토)의 예방
용법용량
성인 : 항악성종양제(시스플라틴 등) 투여전 1시간 이내에 염산라모세트론으로서 0.1mg(1매)를 1회 경구투여한다. 다만, 항암화학요법의 각 주기별로 이 약의 투여 기간은 5일 이내로 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사용상주의사항
1.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다른 세로토닌성 약물(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와 세로토닌 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억제제(SNRI) 등)을 투여받고 있는 환자(일반적주의항 참조)
2. 이상반응
1) 이 약의 원개발국인 일본에서 허가 시까지의 임상시험에서는 278명 중 17명(6.1%)에서, 시판 후 사용성적조사에서는 3,121명 중 214명(6.9%)에서 임상검사치의 이상을 포함한 부작용이 확인되었다. 임상시험, 시판 후 조사 또는 자발보고에서 확인된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1) 중대한 이상반응
① 쇼크, 아나필락시유사증상(빈도불명) : 쇼크, 아나필락시 유사증상(기분불쾌, 흉부불쾌감, 호흡곤란, 천명, 안면홍조, 발적, 가려움, 청색증, 혈압저하 등)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이상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② 전간유사발작(유사약제) : 다른 5-HT₃수용체 길항형 제토제의 경우 외국에서 전간유사발작이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다.
(2) 기타의 이상반응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투여를 중지한다.
임상검사치의 이상 중 허가 시까지 임상에서 발생빈도가 1% 이상인 것으로는 ALT상승(1.8%), AST상승(1.5%) LDH상승(1.1%)이었다.
2) 국내에서 재심사를 위하여 6년 동안 67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용성적 조사결과 이 약과의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이상반응은 1.03%(7례/679례)로 보고되었다. 발열이 3례(0.44%)로 가장 많았고 두중감, LDH 증가가 각 1례(0.15%)씩 보고되었으며, 시판 전 임상시험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새로운 이상반응으로 설사 2례(0.29%)가 보고되었다.
3. 일반적 주의
1) 이 약은 구강 내에서 붕괴되지만 구강점막으로부터 흡수되지는 않으므로 타액 또는 물로 투여한다.
2) 주로 이 약은 심한 구역, 구토를 일으키는 항악성종양제(시스플라틴 등)를 투여하는 경우에 이러한 구역, 구토를 사전에 예방할 목적으로 투여하며 주사제는 구역, 구토가 나타나고 있는 환자에 대해 제토요법으로 투여한다.
3) 항악성종양제 투여 후 이 약의 효과가 불충분하여 구역, 구토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다른 제토요법(주사제의 투여 등)을 고려해야 한다.
4) 동일계열약물(5-HT3 수용체 길항제)과 다른 세로토닌성 약물(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와 세로토닌 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억제제(SNRI) 등)의 병용투여 이후 세로토닌 증후군(정신상태 변화, 자율신경기능장애, 신경근육 이상을 포함)에 대한 보고가 있었다. 이 약과 다른 세로토닌성 약물의 병용치료가 임상적으로 정당하다면 환자에 대한 적절한 관찰이 권고된다.
4. 상호작용
1) 이 약은 주로 간의 약물대사효소 CYP1A2 및 CYP2D6에 의해 대사되므로 fluvoxamine 과 병용투여시 fluvoxamine의 CYP1A2 저해작용에 의해 이 약의 혈중농도 상승으로 인 한 부작용이 증강될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한다.
2)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와 세로토닌 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억 제제(SNRI) 등의 다른 세로토닌성 약물과 동일계열약물(5-HT3 수용체 길항제) 의 병용투여 이후 세로토닌 증후군(정신상태 변화, 자율신경기능장애, 신경 근육 이상을 포함)에 대한 보고가 있었다.
5.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신 중의 투여에 대해서는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는 치료 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2) 랫트에서 유즙으로의 이행이 보고되어 있으므로, 수유중인 환자에 투여하는 경우에는 수유를 중단해야 한다.
6.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에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사용경험이 없음).
7.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일반적으로 고령자는 생리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고 신중히 투여해야 하며 부작용이 발현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는 등의 적절한 처치를 한다.
8. 기타
동물을 이용한 생식독성시험 결과 토끼를 이용한 최기형성시험에서 25mg/kg, 125mg/kg/day를 경구 투여시 골화지연(흉골골화핵의 미미한 감소)이 관찰되었고, 랫트를 이용한 주산·수유기시험에서 300mg/kg/day를 경구 투여시 분만지연(임신기간 연장), 사산자 증가, 암·수출생자 모두 생후 약 7일경부터 지속적으로 체중증가억제가 관찰되었다.
9. 적용상의 주의
투여시 : 이 약을 혀 위에 놓고 타액을 침습시켜 붕괴되도록 한 후 타액만으로도 복용이 가능하다.
10.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2) 다른 용기에 바꾸어 넣는 것은 사고원인이 되거나 품질 유지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이를 주의한다.
다른 세로토닌성 약물(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와 세로토닌 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억제제(SNRI) 등)을 투여받고 있는 환자(일반적주의항 참조)
2. 이상반응
1) 이 약의 원개발국인 일본에서 허가 시까지의 임상시험에서는 278명 중 17명(6.1%)에서, 시판 후 사용성적조사에서는 3,121명 중 214명(6.9%)에서 임상검사치의 이상을 포함한 부작용이 확인되었다. 임상시험, 시판 후 조사 또는 자발보고에서 확인된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1) 중대한 이상반응
① 쇼크, 아나필락시유사증상(빈도불명) : 쇼크, 아나필락시 유사증상(기분불쾌, 흉부불쾌감, 호흡곤란, 천명, 안면홍조, 발적, 가려움, 청색증, 혈압저하 등)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이상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② 전간유사발작(유사약제) : 다른 5-HT₃수용체 길항형 제토제의 경우 외국에서 전간유사발작이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다.
(2) 기타의 이상반응
1~5%미만 |
0.1%~1%미만 |
0.1%미만 |
|
과민증*) |
피진 |
||
정신신경계 |
두통, 두중감 |
졸리움 |
|
소화기계 |
변비 |
||
신장 |
BUN상승 |
||
간 및 담도계 |
간기능이상 [AST(GOT)상승, ALT(GPT)상승, LDH상승, 빌리루빈상승] |
||
기타 |
발열 |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투여를 중지한다.
임상검사치의 이상 중 허가 시까지 임상에서 발생빈도가 1% 이상인 것으로는 ALT상승(1.8%), AST상승(1.5%) LDH상승(1.1%)이었다.
2) 국내에서 재심사를 위하여 6년 동안 67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용성적 조사결과 이 약과의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이상반응은 1.03%(7례/679례)로 보고되었다. 발열이 3례(0.44%)로 가장 많았고 두중감, LDH 증가가 각 1례(0.15%)씩 보고되었으며, 시판 전 임상시험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새로운 이상반응으로 설사 2례(0.29%)가 보고되었다.
3. 일반적 주의
1) 이 약은 구강 내에서 붕괴되지만 구강점막으로부터 흡수되지는 않으므로 타액 또는 물로 투여한다.
2) 주로 이 약은 심한 구역, 구토를 일으키는 항악성종양제(시스플라틴 등)를 투여하는 경우에 이러한 구역, 구토를 사전에 예방할 목적으로 투여하며 주사제는 구역, 구토가 나타나고 있는 환자에 대해 제토요법으로 투여한다.
3) 항악성종양제 투여 후 이 약의 효과가 불충분하여 구역, 구토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다른 제토요법(주사제의 투여 등)을 고려해야 한다.
4) 동일계열약물(5-HT3 수용체 길항제)과 다른 세로토닌성 약물(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와 세로토닌 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억제제(SNRI) 등)의 병용투여 이후 세로토닌 증후군(정신상태 변화, 자율신경기능장애, 신경근육 이상을 포함)에 대한 보고가 있었다. 이 약과 다른 세로토닌성 약물의 병용치료가 임상적으로 정당하다면 환자에 대한 적절한 관찰이 권고된다.
4. 상호작용
1) 이 약은 주로 간의 약물대사효소 CYP1A2 및 CYP2D6에 의해 대사되므로 fluvoxamine 과 병용투여시 fluvoxamine의 CYP1A2 저해작용에 의해 이 약의 혈중농도 상승으로 인 한 부작용이 증강될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한다.
2)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와 세로토닌 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억 제제(SNRI) 등의 다른 세로토닌성 약물과 동일계열약물(5-HT3 수용체 길항제) 의 병용투여 이후 세로토닌 증후군(정신상태 변화, 자율신경기능장애, 신경 근육 이상을 포함)에 대한 보고가 있었다.
5.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신 중의 투여에 대해서는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는 치료 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2) 랫트에서 유즙으로의 이행이 보고되어 있으므로, 수유중인 환자에 투여하는 경우에는 수유를 중단해야 한다.
6.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에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사용경험이 없음).
7.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일반적으로 고령자는 생리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고 신중히 투여해야 하며 부작용이 발현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는 등의 적절한 처치를 한다.
8. 기타
동물을 이용한 생식독성시험 결과 토끼를 이용한 최기형성시험에서 25mg/kg, 125mg/kg/day를 경구 투여시 골화지연(흉골골화핵의 미미한 감소)이 관찰되었고, 랫트를 이용한 주산·수유기시험에서 300mg/kg/day를 경구 투여시 분만지연(임신기간 연장), 사산자 증가, 암·수출생자 모두 생후 약 7일경부터 지속적으로 체중증가억제가 관찰되었다.
9. 적용상의 주의
투여시 : 이 약을 혀 위에 놓고 타액을 침습시켜 붕괴되도록 한 후 타액만으로도 복용이 가능하다.
10.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2) 다른 용기에 바꾸어 넣는 것은 사고원인이 되거나 품질 유지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이를 주의한다.
도움닥 등록일 : 2023-06-29 08:30:02
자료 제공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도움닥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