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품목기준코드 : 200712230
[의약품] 맘스폼첩부제(푸시딘산나트륨)
품목구분
의약품
제품명
맘스폼첩부제(푸시딘산나트륨)
업체명
(주)종근당
품목구분
의약품
품목분류
[06110]주로 그람양성균에 작용하는 것
주성분
푸시딘산나트륨/푸시딘산나트륨/푸시딘산나트륨/푸시딘산나트륨
첨가제
총량 : 제1형(10X10㎠), 제2형(단축2.1X장축4.2㎠), 제3형(단축2.5X장축6.5㎠), 제4형(단축3.5X장축6.5㎠)-제1형|성분명 : 푸시딘산나트륨|분량 : 30|단위 : 밀리그램|규격 : 항기|성분정보 : 역가로서 28.7mg|비고 : ;총량 : 제1형(10X10㎠), 제2형(단축2.1X장축4.2㎠), 제3형(단축2.5X장축6.5㎠), 제4형(단축3.5X장축6.5㎠)-제2형|성분명 : 푸시딘산나트륨|분량 : 0.47|단위 : 밀리그램|규격 : 항기|성분정보 : 역가로서 0.45mg|비고 : ;총량 : 제1형(10X10㎠), 제2형(단축2.1X장축4.2㎠), 제3형(단축2.5X장축6.5㎠), 제4형(단축3.5X장축6.5㎠)-제3형|성분명 : 푸시딘산나트륨|분량 : 0.70|단위 : 밀리그램|규격 : 항기|성분정보 : 역가로서 0.67mg|비고 : ;총량 : 제1형(10X10㎠), 제2형(단축2.1X장축4.2㎠), 제3형(단축2.5X장축6.5㎠), 제4형(단축3.5X장축6.5㎠)-제4형|성분명 : 푸시딘산나트륨|분량 : 1.81|단위 : 밀리그램|규격 : 항기|성분정보 : 역가로서 1.73mg|비고 :
취소사유
취하
취하
취소일
20210113
20210113
효능효과
○ 유효균종
- 포도구균
○ 적응증
- 농피증(농가진, 모낭염, 종기), 화상ㆍ외상ㆍ봉합창ㆍ식피창에 의한 2차 감염
- 포도구균
○ 적응증
- 농피증(농가진, 모낭염, 종기), 화상ㆍ외상ㆍ봉합창ㆍ식피창에 의한 2차 감염
용법용량
약면의 박리지를 떼어내고 1일 1회 환부에 붙인다.
사용상주의사항
1. 다음과 같은 사람은 이 약을 사용하지 말 것.
1) 푸시딘산 및 그의 염에 과민반응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비감수성균(특히 녹농균)에 의한 감염 환자
2. 이 약을 사용하는 동안 다음의 행위를 하지 말 것.
1) 이 약의 사용에 있어서 내성균의 발현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수성을 확인하고 치료 상 필요한 최소 기간만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감작될 우려가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감작된 증후(가려움, 발적, 종창, 구진, 소수포 등)가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3) 반복 투여 및 장기연용으로 인해 비감수성균이 과잉증식할 수 있다. 만일 균교대증이 발생하면 이 약의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4) 안면에 부착시킬 경우에는 눈에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3. 다음과 같은 사람은 이 약을 사용하기 전에 의사, 치과의사, 약사와 상의할 것.
1) 임부 및 임신가능한 여성에게 투여 시 이 약은 전신투여 시 태반관문을 통과한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국소사용 시 치료 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2) 수유부에 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전신투여 시 유즙으로의 이행이 보고되었으나 국소사용 시 상용량에서는 유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4. 다음과 같은 경우 이 약의 사용을 즉각 중지하고 의사, 치과의사, 약사와 상의할 것. 상담시 가능한 이 첨부문서를 소지할 것.
때때로 발진, 약한 동통 및 자극 등의 과민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5. 저장상의 주의사항
1) 냉소에 보존할 것.
2) 어린이의 손에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할 것.
3) 의약품을 원래 용기에서 꺼내어 다른 용기에 보관하는 것은 의약품 오용에 의한 사고 발생이나 의약품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원래의 용기에 넣고 꼭 닫아 보관할 것.
1) 푸시딘산 및 그의 염에 과민반응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비감수성균(특히 녹농균)에 의한 감염 환자
2. 이 약을 사용하는 동안 다음의 행위를 하지 말 것.
1) 이 약의 사용에 있어서 내성균의 발현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수성을 확인하고 치료 상 필요한 최소 기간만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감작될 우려가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감작된 증후(가려움, 발적, 종창, 구진, 소수포 등)가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3) 반복 투여 및 장기연용으로 인해 비감수성균이 과잉증식할 수 있다. 만일 균교대증이 발생하면 이 약의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4) 안면에 부착시킬 경우에는 눈에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3. 다음과 같은 사람은 이 약을 사용하기 전에 의사, 치과의사, 약사와 상의할 것.
1) 임부 및 임신가능한 여성에게 투여 시 이 약은 전신투여 시 태반관문을 통과한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국소사용 시 치료 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2) 수유부에 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전신투여 시 유즙으로의 이행이 보고되었으나 국소사용 시 상용량에서는 유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4. 다음과 같은 경우 이 약의 사용을 즉각 중지하고 의사, 치과의사, 약사와 상의할 것. 상담시 가능한 이 첨부문서를 소지할 것.
때때로 발진, 약한 동통 및 자극 등의 과민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5. 저장상의 주의사항
1) 냉소에 보존할 것.
2) 어린이의 손에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할 것.
3) 의약품을 원래 용기에서 꺼내어 다른 용기에 보관하는 것은 의약품 오용에 의한 사고 발생이나 의약품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원래의 용기에 넣고 꼭 닫아 보관할 것.
도움닥 등록일 : 2023-06-29 04:00:02
자료 제공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도움닥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