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품목기준코드 : 200708591
[의약품] 설파마이론퍼5%토피컬솔루션산(초산마페나이드)
품목구분
의약품
제품명
설파마이론퍼5%토피컬솔루션산(초산마페나이드)
업체명
(주)한국유니팜
품목구분
의약품 및 의약외품 수입업
품목분류
[02690]기타의 외피용약
주성분
초산마페나이드
첨가제
총량 : 1그램중|성분명 : 초산마페나이드|분량 : 1|단위 : 그램|규격 : USP|성분정보 : |비고 :
취소사유
취하
취하
취소일
20221216
20221216
효능효과
화상 환자의 피부이식 후 습식드레싱 시 세균감염 억제
용법용량
이 약 한 팩 (50 g)을 주사용 증류수 혹은 주사용 생리식염수 1000 mL이 담긴 용기에 넣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흔들어 녹인 후 0.22 µm 무균 필터로 사용 전 여과해야 한다. 이 조작은 무균 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렇게 제조된 약은 25-30℃에서 보관되어야 하며, 48시간 이내에 사용하여야 한다. 외용으로만 사용하고 주사 하여서는 안 된다.
이식된 부위는 미세한 그물코 거즈 1겹으로 덮어둔다. 8겹으로 된 화상 드레싱을 이식 부위 크기로 재단하고 관주용 주사기 혹은 관주용 튜브를 이용하여 이 약이 충분히 스며들 때 까지 적신다.
관주용 튜브를 사용하는 경우, 튜브는 8겹의 거즈 중 2번째 거즈에 놓은 후, 상처를 덮고 있는 화상 부의의 거즈위에 올려놓는다. 거즈는 반드시 젖은 채로 유지 시켜야한다. 관주용 튜브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거즈는 습기를 유지하기 위해 6-8시간 마다 또는 필요시 주사기를 이용하여 적셔준다. 상처부위 드레싱은 관주할 때를 제외하고는 5일 동안 가만히 놔둬야 한다.
이식 작업이 완료될 때 까지 추가적으로 적셔주는 것이 필요할 수 도 있다. 24시간 간격으로 습식 드레싱을 하는 경우에도 피부 연화가 발생할 수 있다. 자가이식 후 혈관 생성이 일어나고 치료가 진행될 때 까지 (일반적으로 5일 정도) 이러한 처치를 지속한다. 5일 이상의 이식치료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인 확립되지 않았다.
이식된 부위는 미세한 그물코 거즈 1겹으로 덮어둔다. 8겹으로 된 화상 드레싱을 이식 부위 크기로 재단하고 관주용 주사기 혹은 관주용 튜브를 이용하여 이 약이 충분히 스며들 때 까지 적신다.
관주용 튜브를 사용하는 경우, 튜브는 8겹의 거즈 중 2번째 거즈에 놓은 후, 상처를 덮고 있는 화상 부의의 거즈위에 올려놓는다. 거즈는 반드시 젖은 채로 유지 시켜야한다. 관주용 튜브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거즈는 습기를 유지하기 위해 6-8시간 마다 또는 필요시 주사기를 이용하여 적셔준다. 상처부위 드레싱은 관주할 때를 제외하고는 5일 동안 가만히 놔둬야 한다.
이식 작업이 완료될 때 까지 추가적으로 적셔주는 것이 필요할 수 도 있다. 24시간 간격으로 습식 드레싱을 하는 경우에도 피부 연화가 발생할 수 있다. 자가이식 후 혈관 생성이 일어나고 치료가 진행될 때 까지 (일반적으로 5일 정도) 이러한 처치를 지속한다. 5일 이상의 이식치료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인 확립되지 않았다.
사용상주의사항
1. 경 고
1) 이 약 치료 후 글루코스-6-인산탈수소효소(G-6-PD) 결핍증과 관련된 것으로 생각되는 파종성 혈관 내 응고로 인한 치명적인 용혈성 빈혈이 보고된바 있다.
2. 다음 환자에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에 과민반응을 나타내는 환자. (다른 설폰아마이드에 대한 교차 감수성은 알려져 있지 않다.)
2) 이 약으로 치료받는 동안 알레르기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치료 중단을 고려해야 한다.
3) 산증 (Acidosis)이 나타나 조절하기 힘든 경우 (특히 폐 기능부진 환자에 있어서), 이약을 24-48시간 이약의 사용을 중지하는 것도 산-염기 균형을 회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급성 신부전증
2) 폐 또는 신기능 장애 환자.
4. 이상반응
1) 피부 : 통증 및 작열감, 발진 가려움증 (종종 화상 드레싱 부위), 홍반, 장기간의 습식 드레싱으로 인한 피부연화, 안면부종, 종창, 두드러기, 수포, 호산구증다증
2) 호흡기계 : 빠른 호흡, 과다호흡, 동맥 내 이산화탄소 분압의 감소, 대사성 산증, 혈청 염소의 증가
3) 화상의 심도와 이 약의 부작용 관계는 구분하기 어렵다. 이 약 투여 시 1건의 골수억제, 1건의 융성 포르피린증이 보고된 바 있다.
5. 일반적 주의
1) 이약과 대사 물 (p-carboxybenzenesulfonamide)은 carbonic anhydrase를 저해하여 대사성산증을 일으키나 보통과다 호흡으로 인해 보상된다. 신기능 장애 시, 이 약과 대사물의 혈청농도가 높아져 이 약에 의한 억제 효과가 증가되므로 특히 폐 또는 신기능 장애가 있는 3도 화상 환자와 광범위한 2도 또는 부분적인 비후가 있는 화상 환자의 경우 산-염기평형을 자주 모니터링 한다. 또한 호흡기능 부전이 수반된 환자의 경우 혈액 내 산-염기 평형 복귀를 위해 수액 제 치료를 실시하는 동안 이 약을 투여하지 않는다.
2) 몇몇 환자에서 현저한 과다 호흡으로 인해 호흡성 알칼리증 (혈중 pH는 약 알칼리성, 동맥의 이산화탄소 분압 감소, 총 이산화탄소량 감소)을 보이는, 기전을 알 수 없는 증후군이 보고된 바 있다. 동맥의 산소 분압의 변화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3) 산증 (Acidosis)이 나타나 조절하기 힘든 경우 (특히 폐 기능부진 환자에 있어서), 이약을 24-48시간 이약의 사용을 중지하는 것도 산-염기 균형을 회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3) 화상 부위의 세균증식 감소를 수반하는, 괴사 딱지의 내부와 하부에 진균집락 형성이 나타날 수 있으나 감염 화상 부위를 통한 전신성 진균 감염은 드물게 나타난다.
4) 화상부위의 감염 가능성이 있는 동안 이약의 사용을 중단해서는 안 되나 만약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난다면 사용 중지를 고려할 수 있다. 이 약의 사용을 중지하는 동안 드레싱을 바꾸는 것과 세균의 번식 관찰을 위한 모니터링이 이루어 져야 한다.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이 약을 랫드에 600 mg/kg/day 경구투여 하였을 때, 최기형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임부에 영향을 주는지 또는 태아에게 위해를 가하는지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치료 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어 투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약을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게 투여하지 않는다.
2) 이 약의 모유로 이행되는지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다른 많은 약물들이 모유 중으로 이행되어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증상 및 화상 정도를 정확히 판단해서 수유중단 또는 약물투여 중지 여부를 결정한다.
7. 소아에 대한 투여
1) 생후 3 개월에서 16세까지 이 약의 안전성과 유효성이 확립되어 있다.
8. 노인에 대한 투여
1) 노인 환자들의 화상에 대하여 이 약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9. 기타.
1). 이 약 경구 투여시, 설사가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다. 이 약 2,000mg/kg을 경구투여 하였을 때 치사에 이르지 않았고 임상적인 독성 증후군이 발견되지 않았다.
2) 발암성 및 변이원성 : 이 약으로 인한 발암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기간 이약을 투여한 동물 실험이 수행된 적이 없으나, L5178Y 마우스림프종 TK locus에서 돌연 변이를 일으키지 는 않았다.
1) 이 약 치료 후 글루코스-6-인산탈수소효소(G-6-PD) 결핍증과 관련된 것으로 생각되는 파종성 혈관 내 응고로 인한 치명적인 용혈성 빈혈이 보고된바 있다.
2. 다음 환자에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에 과민반응을 나타내는 환자. (다른 설폰아마이드에 대한 교차 감수성은 알려져 있지 않다.)
2) 이 약으로 치료받는 동안 알레르기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치료 중단을 고려해야 한다.
3) 산증 (Acidosis)이 나타나 조절하기 힘든 경우 (특히 폐 기능부진 환자에 있어서), 이약을 24-48시간 이약의 사용을 중지하는 것도 산-염기 균형을 회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급성 신부전증
2) 폐 또는 신기능 장애 환자.
4. 이상반응
1) 피부 : 통증 및 작열감, 발진 가려움증 (종종 화상 드레싱 부위), 홍반, 장기간의 습식 드레싱으로 인한 피부연화, 안면부종, 종창, 두드러기, 수포, 호산구증다증
2) 호흡기계 : 빠른 호흡, 과다호흡, 동맥 내 이산화탄소 분압의 감소, 대사성 산증, 혈청 염소의 증가
3) 화상의 심도와 이 약의 부작용 관계는 구분하기 어렵다. 이 약 투여 시 1건의 골수억제, 1건의 융성 포르피린증이 보고된 바 있다.
5. 일반적 주의
1) 이약과 대사 물 (p-carboxybenzenesulfonamide)은 carbonic anhydrase를 저해하여 대사성산증을 일으키나 보통과다 호흡으로 인해 보상된다. 신기능 장애 시, 이 약과 대사물의 혈청농도가 높아져 이 약에 의한 억제 효과가 증가되므로 특히 폐 또는 신기능 장애가 있는 3도 화상 환자와 광범위한 2도 또는 부분적인 비후가 있는 화상 환자의 경우 산-염기평형을 자주 모니터링 한다. 또한 호흡기능 부전이 수반된 환자의 경우 혈액 내 산-염기 평형 복귀를 위해 수액 제 치료를 실시하는 동안 이 약을 투여하지 않는다.
2) 몇몇 환자에서 현저한 과다 호흡으로 인해 호흡성 알칼리증 (혈중 pH는 약 알칼리성, 동맥의 이산화탄소 분압 감소, 총 이산화탄소량 감소)을 보이는, 기전을 알 수 없는 증후군이 보고된 바 있다. 동맥의 산소 분압의 변화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3) 산증 (Acidosis)이 나타나 조절하기 힘든 경우 (특히 폐 기능부진 환자에 있어서), 이약을 24-48시간 이약의 사용을 중지하는 것도 산-염기 균형을 회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3) 화상 부위의 세균증식 감소를 수반하는, 괴사 딱지의 내부와 하부에 진균집락 형성이 나타날 수 있으나 감염 화상 부위를 통한 전신성 진균 감염은 드물게 나타난다.
4) 화상부위의 감염 가능성이 있는 동안 이약의 사용을 중단해서는 안 되나 만약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난다면 사용 중지를 고려할 수 있다. 이 약의 사용을 중지하는 동안 드레싱을 바꾸는 것과 세균의 번식 관찰을 위한 모니터링이 이루어 져야 한다.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이 약을 랫드에 600 mg/kg/day 경구투여 하였을 때, 최기형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임부에 영향을 주는지 또는 태아에게 위해를 가하는지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치료 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어 투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약을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게 투여하지 않는다.
2) 이 약의 모유로 이행되는지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다른 많은 약물들이 모유 중으로 이행되어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증상 및 화상 정도를 정확히 판단해서 수유중단 또는 약물투여 중지 여부를 결정한다.
7. 소아에 대한 투여
1) 생후 3 개월에서 16세까지 이 약의 안전성과 유효성이 확립되어 있다.
8. 노인에 대한 투여
1) 노인 환자들의 화상에 대하여 이 약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9. 기타.
1). 이 약 경구 투여시, 설사가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다. 이 약 2,000mg/kg을 경구투여 하였을 때 치사에 이르지 않았고 임상적인 독성 증후군이 발견되지 않았다.
2) 발암성 및 변이원성 : 이 약으로 인한 발암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기간 이약을 투여한 동물 실험이 수행된 적이 없으나, L5178Y 마우스림프종 TK locus에서 돌연 변이를 일으키지 는 않았다.
도움닥 등록일 : 2023-06-29 03:35:03
자료 제공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도움닥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