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품목기준코드 : 200511327
[의약품] 단아팬에프카타플라스마(인도메타신)
품목구분
의약품
제품명
단아팬에프카타플라스마(인도메타신)
업체명
(주)오현파마코푸레이션
품목구분
의약품 및 의약외품 수입업
품목분류
[02640]진통.진양.수렴.소염제
주성분
인도메타신
첨가제
총량 : 1매 중(부직포 및 플 라스틱필름 포함: 5.05g, 부직포 및 플라스틱필름 제외: 3.85g, 7cm×14cm)|성분명 : 인도메타신|분량 : 70|단위 : 밀리그램|규격 : JP|성분정보 : |비고 :
효능효과
퇴행성관절염(골관절염), 어깨관절주위염, 건염(힘줄염)ㆍ건초염(힘줄윤활막염), 건(힘줄)주위염, 상완골(위팔뼈)상과염(테니스 엘보우 등), 근육통, 외상(상처)후의 종창(부기)ㆍ동통(통증)
용법용량
1일 2회 환부(질환 부위)에 부착한다.
사용상의주의사항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 및 기타의 인도메타신 제제에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아스피린 천식(비스테로이드성 소염[항염]진통제 등에 의한 천식발작의 유발)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중증[심한 증상] 천식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
3) 아스피린 또는 기타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항염)진통제에 기관지경련의 병력, 비염(코염) 및 맥관부종(혈관부기)을 일으킨 환자
4) 14세 미만의 소아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기관지 천식 환자(중증[심한 증상] 천식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
3. 부작용
1) 때때로 가려움, 발적(충혈되어 붉어짐), 발진, 접촉피부염, 습진(투여 중지시 증상이 소실된다)이 나타날 수 있으며 드물게 열감, 종창(부기), 홍조, 아나필락시, 광과민증, 작열감(화끈감), 자극감, 건조감 및 저린감, 위장관불쾌감, 두통, 어지러움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사용을 중지한다.
2) 건선(마른비늘증) 환자의 경우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3) 피부반응, 기관지경련, 쇽에 이르는 혈압하강 등의 과민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특수한 경우 두통, 구역, 구토, 열, 뒷목 뻣뻣함 또는 의식혼탁 등의 증상을 수반하는 무균성 뇌막염이 나타날 수 있다.
4. 일반적 주의
1) 소염(항염)진통제에 의한 치료는 원인요법이 아닌 대증요법(증상별로 치료하는 방법)임에 유의한다.
2) 피부감염증을 불현성화(겉으로 드러나지 않게) 시킬 수 있으므로 감염을 수반하는 염증에 대해 이 약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당한 항균제 또는 항진균제를 병용(함께 사용)하고 충분히 관찰하여 신중하게 투여한다.
3) 만성질환(퇴행성관절염 [골관절염]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약물요법 이외의 요법도 고려한다. 또한 상태를 충분히 관찰하여 부작용 발현(드러냄)에 유의한다.
4) 권장용량을 초과하여 장기간 넓은 부위에 바를 경우 전신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5) 수술 후에 생긴 상처에 바른 후 과민성 쇽이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다.
5. 상호작용
과량투여시 쿠마린, 혈당강하제, 티록신과 상호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신 3기: 프로스타글란딘 합성 저해로 인해 출산이 지연될 수 있으며, 출산시 실혈, 신생아 출혈, 태아의 심폐독성(동맥관 조기폐쇄를 수반하는 폐고혈압), 신(신장)기능 저하로 양수과소증을 수반하는 신부전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 시기의 임부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2) 임신 1기 및 2기: 동물의 생식실험 결과 태자독성은 발생하지 않았으나 임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밝혀진 바 없다.
3) 영아(갓난 아기)에 대한 위해 여부는 아직 밝혀진 바 없으나 이 약이 모유로 이행하므로 수유부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7.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에는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8. 과량투여시의 처치
1) 증상: 이 약의 과량복용시 구역, 구토, 복부팽만감, 이급후중, 설사, 위장관 출혈 등의 위장관 증상 및 중증 두통, 어지러움, 착란, 방향상실, 기면, 불면, 피로, 불안, 시각장애, 감각이상, 무감각, 경련 등의 전신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저혈압, 호흡곤란 및 청색증이 나타날 수 있다.
2) 처치
(1) 이 처치법은 대증적 보조요법이다. 투여 후 시간이 오래 경과하지 않은 경우 위세척을 한다. 자연 구토가 되지 않은 경우 구토유발제를 이용하며 이와 같은 조치가 부적당한 환자의 경우 위세척을 실시한다. 위를 비운 후 25 - 50mg의 약용탄을 투여한다. 필요한 경우 혈청전해질대체방법을 사용한다.
(2) 기본적으로 물-전해질의 균형을 검사하여 조절하여야 하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철저한 의학적 관찰 및 유지요법이 필요할 수 있다.
(3) 이 약의 부작용으로 인한 위장관 궤양과 출혈의 위험이 있으므로 수일간 모니터링 해야한다. 제산제를 사용하여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9. 적용상의 주의
1) 병변이 있는 피부(출혈성 피부질환, 습진, 감염된 병변, 화상, 상처), 눈 및 점막에 사용하지 않는다.
2) 피부에 손상이 있을 경우 사용하면 일시적인 자극 및 저린감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사용시 주의한다.
3) 외용으로만 사용한다.
4) 밀봉붕대법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1) 이 약 및 기타의 인도메타신 제제에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아스피린 천식(비스테로이드성 소염[항염]진통제 등에 의한 천식발작의 유발)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중증[심한 증상] 천식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
3) 아스피린 또는 기타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항염)진통제에 기관지경련의 병력, 비염(코염) 및 맥관부종(혈관부기)을 일으킨 환자
4) 14세 미만의 소아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기관지 천식 환자(중증[심한 증상] 천식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
3. 부작용
1) 때때로 가려움, 발적(충혈되어 붉어짐), 발진, 접촉피부염, 습진(투여 중지시 증상이 소실된다)이 나타날 수 있으며 드물게 열감, 종창(부기), 홍조, 아나필락시, 광과민증, 작열감(화끈감), 자극감, 건조감 및 저린감, 위장관불쾌감, 두통, 어지러움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사용을 중지한다.
2) 건선(마른비늘증) 환자의 경우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3) 피부반응, 기관지경련, 쇽에 이르는 혈압하강 등의 과민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특수한 경우 두통, 구역, 구토, 열, 뒷목 뻣뻣함 또는 의식혼탁 등의 증상을 수반하는 무균성 뇌막염이 나타날 수 있다.
4. 일반적 주의
1) 소염(항염)진통제에 의한 치료는 원인요법이 아닌 대증요법(증상별로 치료하는 방법)임에 유의한다.
2) 피부감염증을 불현성화(겉으로 드러나지 않게) 시킬 수 있으므로 감염을 수반하는 염증에 대해 이 약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당한 항균제 또는 항진균제를 병용(함께 사용)하고 충분히 관찰하여 신중하게 투여한다.
3) 만성질환(퇴행성관절염 [골관절염]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약물요법 이외의 요법도 고려한다. 또한 상태를 충분히 관찰하여 부작용 발현(드러냄)에 유의한다.
4) 권장용량을 초과하여 장기간 넓은 부위에 바를 경우 전신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5) 수술 후에 생긴 상처에 바른 후 과민성 쇽이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다.
5. 상호작용
과량투여시 쿠마린, 혈당강하제, 티록신과 상호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신 3기: 프로스타글란딘 합성 저해로 인해 출산이 지연될 수 있으며, 출산시 실혈, 신생아 출혈, 태아의 심폐독성(동맥관 조기폐쇄를 수반하는 폐고혈압), 신(신장)기능 저하로 양수과소증을 수반하는 신부전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 시기의 임부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2) 임신 1기 및 2기: 동물의 생식실험 결과 태자독성은 발생하지 않았으나 임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밝혀진 바 없다.
3) 영아(갓난 아기)에 대한 위해 여부는 아직 밝혀진 바 없으나 이 약이 모유로 이행하므로 수유부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7.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에는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8. 과량투여시의 처치
1) 증상: 이 약의 과량복용시 구역, 구토, 복부팽만감, 이급후중, 설사, 위장관 출혈 등의 위장관 증상 및 중증 두통, 어지러움, 착란, 방향상실, 기면, 불면, 피로, 불안, 시각장애, 감각이상, 무감각, 경련 등의 전신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저혈압, 호흡곤란 및 청색증이 나타날 수 있다.
2) 처치
(1) 이 처치법은 대증적 보조요법이다. 투여 후 시간이 오래 경과하지 않은 경우 위세척을 한다. 자연 구토가 되지 않은 경우 구토유발제를 이용하며 이와 같은 조치가 부적당한 환자의 경우 위세척을 실시한다. 위를 비운 후 25 - 50mg의 약용탄을 투여한다. 필요한 경우 혈청전해질대체방법을 사용한다.
(2) 기본적으로 물-전해질의 균형을 검사하여 조절하여야 하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철저한 의학적 관찰 및 유지요법이 필요할 수 있다.
(3) 이 약의 부작용으로 인한 위장관 궤양과 출혈의 위험이 있으므로 수일간 모니터링 해야한다. 제산제를 사용하여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9. 적용상의 주의
1) 병변이 있는 피부(출혈성 피부질환, 습진, 감염된 병변, 화상, 상처), 눈 및 점막에 사용하지 않는다.
2) 피부에 손상이 있을 경우 사용하면 일시적인 자극 및 저린감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사용시 주의한다.
3) 외용으로만 사용한다.
4) 밀봉붕대법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도움닥 등록일 : 2023-06-29 01:10:02
자료 제공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도움닥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