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품목기준코드 : 200502785
[의약품] 그린노즈캡슐
품목구분
의약품
제품명
그린노즈캡슐
업체명
(주)녹십자
품목구분
의약품
품목분류
[01410]항히스타민제
주성분
세티리진염산염/수도에페드린염산염
첨가제
총량 : 1 캡슐 (262.2 mg) 중|성분명 : 세티리진염산염|분량 : 5|단위 : 밀리그램|규격 : BP|성분정보 : |비고 : 20050831-40-C-145-06;총량 : 1 캡슐 (262.2 mg) 중|성분명 : 수도에페드린염산염|분량 : 120|단위 : 밀리그램|규격 : KP|성분정보 : |비고 : 20050831-41-C-46-03
취소사유
유효기간만료
유효기간만료
취소일
20210101
20210101
효능효과
다음 증상을 수반하는 계절성 및 다년성 알레르기 비염의 완화 : 코막힘, 재채기, 콧물, 눈 코의 소양증
용법용량
1. 12세 이상의 소아와 성인
식사와 관계없이 1회 1캡슐씩 1일 2회(아침, 저녁) 복용한다.
이 약은 씹거나 부수어서 복용하지 말고 그대로 삼켜서 복용한다.
2. 이 약은 2~3주 이상 복용하지 않도록 한다.
3. 신기능 저하 환자 및 간기능 저하 환자의 경우 감량하여 1회 1캡슐씩 1일 1회 복용한다.
식사와 관계없이 1회 1캡슐씩 1일 2회(아침, 저녁) 복용한다.
이 약은 씹거나 부수어서 복용하지 말고 그대로 삼켜서 복용한다.
2. 이 약은 2~3주 이상 복용하지 않도록 한다.
3. 신기능 저하 환자 및 간기능 저하 환자의 경우 감량하여 1회 1캡슐씩 1일 1회 복용한다.
사용상의주의사항
1. 경고
슈도에페드린 함유 의약품 복용시 급성 전신성 발진성 농포증(AGEP)과 같은 중증 피부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환자들을 주의 깊게 모니터링해야 한다. 발열, 홍반, 다수의 작은 농포와 같은 증상이 관찰될 경우 이 약의 복용을 중단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마십시오.
(1) 이 약 또는 Ephedrine 또는 Piperazine류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2) 심각한 고혈압 또는 심각한 관상 동맥 환자
(3) Monoamine Oxidase 저해제[억제제]를 투여받고 있는 환자
(4) 안내압이 증가되어 있거나 뇨저류[소변이 고임]가 있는 환자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하십시오.
(1) 당뇨병, 갑상선 기능 항진증, 고혈압, 빈박, 부정맥, 신장 및 간기능 부전환자
(2) 교감신경양 약물 (비충혈[코막힘] 제거약, 식욕억제제, Amphetamine등의 정신흥분제), 삼환계 항우울약, 디기탈리스 제제를 투여받는 환자
(3) 기타 다른 중추신경 흥분약을 투여받는 환자
4. 부작용
(1) 구갈[목마름], 두통, 불면, 수면, 무기력, 빈박, 신경과민증, 어지러움증, 현운[현기증], 오심[구역] 등이 투여대상 중 1% 이상에서 나타났습니다.
(2) 공포, 흥분, 긴장, 불안, 진전[떨림], 호흡곤란, 환각, 경련, 중추신경억제, 부정맥, 저혈압이 있는 심혈관계 허탈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피부반응, 혈관부종, 아나필락시스성 쇼크 등의 과민증이 일어날 수 있다.
4) 급성 전신성 발진성 농포증(AGEP), 발열, 홍반, 다수의 작은 농포와 같은 중증 피부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5) 슈도에페드린 성분과 관련하여 허혈성 대장염의 증상(급격한 복통, 직장 출혈 등)이 발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 약의 복용을 중단해야 한다.
6) 조절장애, 시야흐림, 안통, 시각장애, 눈부심, 동공확대 등의 안과질환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7) 발기기능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5. 상호작용
(1) Monoamine Oxidase 저해제[억제제], β2 - 교감신경 효능 억제약은 교감신경 양 작용을 증가시킵니다. MAO 저해제[억제제]의 긴 작용시간 때문에 MAO 저해제[억제제]투여 최소 15일 후 이 약물을 복용합니다.
(2) 교감신경양 아민은 Methyldopa, Guanethidine, Reserpine의 항고혈압 효과를 감소시킵니다.
(3) 슈도에페드린을 디기탈리스와 병용[함께 복용] 투여할 때 전위성[변위] 심박 조율기의 활성이 증가될 수 있습니다.
(4) 슈도에페드린은 제산제에 의해 흡수속도가 증가되는 반면, 카울린에 의해 흡수 속도가 감소됩니다.
6. 임산부에 대한 안전성은 확립되지 않았으며 이 약물은 모유로 분비되므로 수유부는 복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7. 과량투여시의 처치
과량투여시 빈박, 부정맥, 고혈압, 중추신경억제효과(진정, 무호흡, 무의식, 청색증, 심혈관계 허탈증) 또는 자극효과(불면, 환각, 진전[떨림], 경련)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즉시 병원으로 옮기고 대증적인 방법을 취하도록 합니다. 위세척을 실시하고고혈압은 α - 억제약으로 조절하고 빈박은 β-억제약으로 조절합니다. 경련이 나타나면 디아제팜을 정맥 투여합니다.
8. 기타
운전이나 위험한 기계를 조작하는 경우 주의를 요합니다.
슈도에페드린 함유 의약품 복용시 급성 전신성 발진성 농포증(AGEP)과 같은 중증 피부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환자들을 주의 깊게 모니터링해야 한다. 발열, 홍반, 다수의 작은 농포와 같은 증상이 관찰될 경우 이 약의 복용을 중단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마십시오.
(1) 이 약 또는 Ephedrine 또는 Piperazine류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2) 심각한 고혈압 또는 심각한 관상 동맥 환자
(3) Monoamine Oxidase 저해제[억제제]를 투여받고 있는 환자
(4) 안내압이 증가되어 있거나 뇨저류[소변이 고임]가 있는 환자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하십시오.
(1) 당뇨병, 갑상선 기능 항진증, 고혈압, 빈박, 부정맥, 신장 및 간기능 부전환자
(2) 교감신경양 약물 (비충혈[코막힘] 제거약, 식욕억제제, Amphetamine등의 정신흥분제), 삼환계 항우울약, 디기탈리스 제제를 투여받는 환자
(3) 기타 다른 중추신경 흥분약을 투여받는 환자
4. 부작용
(1) 구갈[목마름], 두통, 불면, 수면, 무기력, 빈박, 신경과민증, 어지러움증, 현운[현기증], 오심[구역] 등이 투여대상 중 1% 이상에서 나타났습니다.
(2) 공포, 흥분, 긴장, 불안, 진전[떨림], 호흡곤란, 환각, 경련, 중추신경억제, 부정맥, 저혈압이 있는 심혈관계 허탈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피부반응, 혈관부종, 아나필락시스성 쇼크 등의 과민증이 일어날 수 있다.
4) 급성 전신성 발진성 농포증(AGEP), 발열, 홍반, 다수의 작은 농포와 같은 중증 피부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5) 슈도에페드린 성분과 관련하여 허혈성 대장염의 증상(급격한 복통, 직장 출혈 등)이 발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 약의 복용을 중단해야 한다.
6) 조절장애, 시야흐림, 안통, 시각장애, 눈부심, 동공확대 등의 안과질환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7) 발기기능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5. 상호작용
(1) Monoamine Oxidase 저해제[억제제], β2 - 교감신경 효능 억제약은 교감신경 양 작용을 증가시킵니다. MAO 저해제[억제제]의 긴 작용시간 때문에 MAO 저해제[억제제]투여 최소 15일 후 이 약물을 복용합니다.
(2) 교감신경양 아민은 Methyldopa, Guanethidine, Reserpine의 항고혈압 효과를 감소시킵니다.
(3) 슈도에페드린을 디기탈리스와 병용[함께 복용] 투여할 때 전위성[변위] 심박 조율기의 활성이 증가될 수 있습니다.
(4) 슈도에페드린은 제산제에 의해 흡수속도가 증가되는 반면, 카울린에 의해 흡수 속도가 감소됩니다.
6. 임산부에 대한 안전성은 확립되지 않았으며 이 약물은 모유로 분비되므로 수유부는 복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7. 과량투여시의 처치
과량투여시 빈박, 부정맥, 고혈압, 중추신경억제효과(진정, 무호흡, 무의식, 청색증, 심혈관계 허탈증) 또는 자극효과(불면, 환각, 진전[떨림], 경련)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즉시 병원으로 옮기고 대증적인 방법을 취하도록 합니다. 위세척을 실시하고고혈압은 α - 억제약으로 조절하고 빈박은 β-억제약으로 조절합니다. 경련이 나타나면 디아제팜을 정맥 투여합니다.
8. 기타
운전이나 위험한 기계를 조작하는 경우 주의를 요합니다.
도움닥 등록일 : 2023-06-29 00:55:02
자료 제공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도움닥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