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UMDOC

  • 도움닥
    • 소개
    • 공지사항
    • FAQ
    • 정신건강 이모저모
  • 마음챙김·자가검진
    • 감사일기
    • 마음기록
    • 마음건강정보
    • 마음건강 자가검진
    • 청소년용 자가검진
  • 의료정보
    • 의약품 정보 찾기
    • 병원·약국 찾기
  • 인지행동치료
    • 인지행동치료란?
  • 전문의상담예약

의약품 정보

식약처 품목기준코드 : 199800770

[의약품] 앤지비드서방캡슐120밀리그램(질산이소소르비드)(수출용)

품목구분
의약품
제품명
앤지비드서방캡슐120밀리그램(질산이소소르비드)(수출용)
업체명
코오롱제약(주)
품목구분
의약품
품목분류
[02170]혈관확장제
주성분
이소소르비드질산염 제피과립
첨가제
총량 : 1캅셀(430mg)중|성분명 : 이소소르비드질산염 제피과립|분량 : 430|단위 : 밀리그램|규격 : 별규|성분정보 : 이소소르비드질산염으로서 120mg|비고 :
효능효과
(경구 : 정제, 서방형 정제·캅셀제)
1. 협심증, 심근경색, 관경화증(만성허혈성심질환, 무증후성허혈성심질환, 동맥경화성심질환)
2. 울혈성심부전의 보조요법(강심배당체 또는 이뇨제와 병용)
(주사제)
1. 급성심부전(급성심근경색에 의한 좌심부전 포함)
2. 중증 또는 불안정형협심증
(구강 : 스프레이)
협심증, 좌심부전을 수반하는 급성심근경색, 폐부종
용법용량
(경구 : 정제)
성인 : 질산이소소르비드로서 1회 5-10㎎ 1일 3-4회 경구 또는 설하투여한다. 협심증 발작의 경우에는 1회 5-10㎎을 설하투여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경구 : 서방형 캅셀제 20㎎)
성인 : 질산이소소르비드로서 1회 20㎎ 1일 2회 경구투여한다. 증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1회 40㎎까지 투여할 수 있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경구 : 서방형 정제 40㎎)
성인 : 질산이소소르비드로서 1일 1회 40㎎ 또는 1회 20㎎ l일 2회 경구투여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1회 40㎎ 1일 2회까지 투여할 수 있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경구 : 서방형 캅셀제 40㎎)
성인 : 질산이소소르비드로서 1일 1회(이침식사후) 40-80㎎을 경구투여한다. 질산염제제를 처음 투여하는 환자의 경우에는 저용량에서 투여를 시작하여 점차 증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경구 : 서방형 캅셀제 120㎎)
성인 : 질산이소소르비드로서 1일 1회 120㎎을 아침식사후 경구투여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주사제)
1. 성인 : 질산이소소르비드로서 2-7㎎/시간의 속도로 환자에 따라 용량을 조절하여 점적 정맥주사한다. 10㎎/시간까지 증량할 수 있다.
2. 주사용 증류수, 포도당주사액 등 적절한 수액으로 희석하여 사용하거나 희석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한다.
3. 희석사용액의 농도는 100㎍/㎖(이 약 50㎖를 적절한 수액으로 희석하여 500㎖로 조제)이며 수액투여량을 줄여야 할 경우 200㎍/㎖ 농도로 희석 사용할 수 있다(도표참조).
4. 이 약은 PVC 또는 폴리우레탄 수액셋트에 흡착되므로 점적 주사하는 경우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수액셋트를 사용하며 PVC 또는 폴리우레탄 수액셋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절히 증량한다.
5. 희석 조제할 경우 무균조건에서 포장을 여는 즉시 희석수액에 넣어야 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구강 : 스프레이)
1. 성인 : 질산이소소르비드로서 1회 1.25㎎ 1일 1-3회 구강내에 분무한다(벨브를 한번 누르면 이 약 12.5㎎이 분무된다.).
2. 보호캡을 벗기고 처음 사용하기 전에는 추진가스가 없으므로 균질하게 분무될 때까지 (용기를 똑바로 세워쥐고) 스프레이 밸브를 세게 여러번 누른후 구강에 분무한다(용액중에 알코올이 들어있기 때문에 구강에 약간의 작열감을 느낄 수 있다.).
3. 다음에 사용할 때에는 즉시 분무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며칠동안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분무력을 높이기 위해 밸프를 다시 여러번 눌러준 후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4. 사용후에는 캡을 다시 씌어 놓는다.
5. 별도로 의사의 지시가 없는 한 협심증 발작초기나 발작이 예기될 때 용기를 반듯이 세우고 증상의 정도와 환자의 반응에 따라 약 30초 간격으로 호흡을 멈춘 상태에서 구강에 분무한다. 이때 흡입해서는 안된다.
사용상주의사항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급성 순환기능부전(쇼크, 혈관허탈) 환자
  2) 중증의 저혈압(수축기압 90mmHg 미만) 환자
  3) 녹내장 환자
  4) 질산염제제에 과민증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5) 심근의 비대 폐색, 심근장애(심장내부가 좁아지는 심근의 이상) 환자
  6) 낮은 충만압, 즉 급성 심근경색, 좌심실 기능손상(좌측 심장 마비) 환자. 수축기압이 90mmHg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피해야 한다.
  7) 만일 충분히 높은 좌심실 종말 확장기압이 내대동맥 맥박수나 수축성 약물(강심약)에 의해 보상되지 않을 경우 심장성 쇼크 환자
  8) 구연산 실데나필에 의해 이 약의 혈압강하효과가 증폭되므로, 발기 부전증 치료제로 사용되는 구연산 실데나필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저혈압 환자
  2) 원발성 폐고혈압 환자
  3) 대동맥판협착증, 승모판협착증 환자
  4) 기립성 조절장애 환자
  5) 두개내압이 상승된 환자(지금까지 추가적인 내압상승은 고용량 글리세릴 트리니트레이트의 정맥주사후에만 관찰되었다).(서방형 제제에 한함.)
  6) 교착성 심낭염, 심장압전 환자(서방형 제제에 한함.)
  7) 심막 탐폰 (심장낭의 탐폰) 환자(서방형 제제에 한함.)
3. 부작용
  ◦ 정제
  1) 순환기계 : 어지러움, 때때로 혈압강하, 열감, 홍조, 심계항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2) 정신신경계 : 두통, 때때로 무력감, 불쾌감 등이 나타날 수 있다.
  3) 소화기계 : 때때로 구역, 구토, 위부불쾌감, 식욕부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4) 과민증 : 발진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 서방형 정제·캅셀제
  1) 순환기계 : 때때로 어지러움, 열감, 홍조, 심계항진, 드물게 혈압강하, 부종, 서맥성 부정맥과 실신을 동반하는 허탈상태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드물게 강한 혈압강하효과에 의한 협심증의 악화가 보고되었다.(역설적 니트레이트 효과)
  2) 정신신경계 : 때때로 두통, 두중, 비틀거림, 드물게 이명, 무력감, 불쾌감, 졸음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치료초기에 두통이 나타날 수 있으나 계속 투여하면 수일내에 증상이 개선되며 필요한 경우에는 진통제를 투여한다.
  3) 소화기계 : 때때로 구역, 구토, 설사, 위부불쾌감, 상복부통, 드물게 식욕부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4) 과민증 : 드물게 발진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5) 간장 : 드물게 AST, ALT 상승 등이 나타날 수 있다.
  6) 피부 : 드물게 조홍, 알러지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개개인에 따라 박탈성피부염(염증성 피부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
4. 상호작용
  1) 이 약과 테르페나딘, 아스테미졸의 병용투여시 QT 연장, 심실성 부정맥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병용투여 하지 않는다.
  2) 다른 혈관확장제, 칼슘길항제, 혈압강하제, 삼환계 항우울제, β차단약, 신경이완제, 구연산 실데나필, 알코올 등과의 병용에 의해 혈압강하작용이 증강되어 기계조작 등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3) 디히드로에르고타민(DHE)과의 병용투여시 DHE 레벨이 증가되고 혈압상승효과가 증강될 수 있다.
  4) 이것은 최근 복용한 약물에도 적용된다는 것에 주의한다.
5.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신중의 투여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의사의 지시가 없는 한 임신초기 3개월간은 투여하지 않는다.).
  2) 모유중으로의 이행이 알려진 바 없으므로 수유중에는 투여를 피하고 부득이한 경우에는 수유를 중단한다.
6.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에 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7.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일반적으로 고령자는 간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높은 혈중농도가 지속될 수 있으므로 신중히 투여한다.
8. 적용상의 주의(서방형 제제에 한함.)
  씹어서 복용하는 경우, 일시적인 혈중농도상승에 따른 두통이 생기기 쉬우므로 부수거나 씹지 말고 그대로 복용한다.
9. 기타
  1) 이 약 사용중에 이 약 또는 다른 질산염제제에 대해 내약성이 생겨 작용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의 감소나 손실을 막기 위해서는 이 약 고용량을 계속적으로 투여하지 않는다.
  2) 이 약의 투여에 의해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이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다.
  3) 이 약은 급성 협심증의 응급처치 목적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4) 산소 교환이 불충분하게 이뤄진 폐의 부위에서 혈류가 상대적으로 재분배되므로 본제제의 투여는 동맥 혈관내 산소함량을 갑자기 감소(저산소증)시킨다. 이 때문에 관상심장질환 환자에서 허혈이 일어날 수 있다.
도움닥 등록일 : 2023-06-28 16:55:03

    자료 제공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도움닥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별점 :
  • 0자/200자
    등록
DOUMDOC
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주)케이더봄

대표이사 한재형

메일 문의 info@theboms.co.kr   

대표전화 02-6327-8800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 161 5층 514호

사업자 등록번호 137-88-00431

통신판매신고번호 2022-서울마포-2537

© Copyright 2022 K-THEBOM All Rights Reserved.

  • 홈

  • 알림

  • 마이페이지

loader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