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품목기준코드 : 201700819
[의약품] 미스킨주
품목구분
의약품
제품명
미스킨주
업체명
(주)마더스제약
품목구분
의약품
품목분류
[03920]해독제
주성분
글리시리진산암모늄/글리신/시스테인염산염수화물
첨가제
총량 : 1 mL 중|성분명 : 글리시리진산암모늄|분량 : 2.65|단위 : 밀리그램|규격 : EP|성분정보 : |비고 : ;총량 : 1 mL 중|성분명 : 글리신|분량 : 20|단위 : 밀리그램|규격 : JP|성분정보 : |비고 : ;총량 : 1 mL 중|성분명 : 시스테인염산염수화물|분량 : 1|단위 : 밀리그램|규격 : EP|성분정보 : |비고 :
취소사유
유효기간만료
유효기간만료
취소일
20220215
20220215
효능효과
두드러기, 습진,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약물중독의 보조요법. 만성간질환의 간기능 개선
용법용량
성인 : 1회 2~20mL, 1일 1회 정맥주사한다. 만성간질환에는 1회 40~60mL, 1일 1회 정맥 또는 점적정맥주사한다. 증량하는 경우에는 1일 최대 100mL를 초과하지 않는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사용상의주의사항
1. 경고
앰플주사제는 용기절단시 유리파편이 혼입되어,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사용시 유리파편 혼입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신중하게 절단사용하되, 특히 어린이, 노약자 사용시에는 각별히 주의할 것.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에 과민증 환자
2) 알도스테론증 환자, 근육병변이 있는 환자, 저칼륨혈증 환자(저칼륨혈증, 고혈압 등을 악화시킬 수 있다.)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고령자(저칼륨혈증 등의 발현율이 높다.)
2) 이 약은 건조아황산나트륨이 함유되어 있어 아나필락시와 같은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일부 감수성 환자에서는 생명을 위협할 정도 또는 이보다 약한 천식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 일반 사람에서의 아황산감수성에 대한 총괄적인 빈도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낮은 것으로 보이며 아황산감수성은 비천식환자보다 천식환자에서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이상반응
1) 쇽 : 쇽, 아나필락시성 쇽(혈압저하, 의식소실, 호흡곤란, 심폐정지, 홍조, 안면부종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이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투여를 즉시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2) 위알도스테론증 : 증량 또는 장기연용에 의하여 고도의 저칼륨혈증, 저칼륨혈증의 발현빈도상승, 혈압상승, 나트륨ㆍ체액의 저류, 부종, 체중증가 등의 위(僞)알도스테론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혈청칼륨치 측정 등 관찰을 충분히 하고 이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또한 저칼륨혈증의 결과로서 무력감, 근력저하 등이 나타날 수 있다.
3) 그 외 이상반응 :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투여량의 증가에 의하여 혈청칼륨치의 저하, 혈압상승의 발현빈도의 상승 경향이 나타난다.
① 체액ㆍ전해질 : 때때로 혈청칼륨치의 저하, 혈압상승 드물게 부종 전신권태감, 근육통이 나타날 수 있다.
② 기타 : 드물게 발진, 이상반응, 두통, 열감이 나타날 수 있다.
5. 일반적 주의
1) 쇽 등의 발현이 예상되므로 충분한 문진을 한다.
2) 쇽 발현시에 응급조치를 취할 준비를 해 둔다.
3) 투여 후 환자는 안정한 상태를 취하도록 하고 충분히 관찰한다.
4) 감초를 함유하는 제제와의 병용시는 이 약에 함유되어 있는 글리시리진산이 중복되어 위알도스테론증이 나타나기 쉬워지므로 주의한다.
6. 상호작용
다음의 이뇨제와 병용시 이들의 이뇨작용은 이 약에 함유되어 있는 글리시리진의 칼륨배설작용을 증강시켜, 혈청칼륨치의 저하가 나타나기 쉬워져 저칼륨혈증(무력감, 근력저하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혈청칼륨치의 측정 등 관찰을 충분히 하고 주의한다. : 치아짓계 및 유사 강압이뇨제(트리클로르메치아짓 등), 루프계 이뇨제(에타크린산, 푸로세미드 등)
7. 임부에 대한 투여
임부 등에 대하여는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및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게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8. 고령자에 대한 투여
임상적으로 사용되었을 때 고령자에서는 저칼륨혈증 등의 부작용의 발현율이 높은 경향이 확인되었으므로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면서 신중히 투여한다.
9. 적용상의 주의
정맥주사할 경우에 혈관통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면서 가능한 한 투여속도를 천천히 주사한다(정맥주사시).
10.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에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할 것.
2) 의약품을 원래 용기에서 꺼내어 다른 용기에 보관하는 것은 의약품 오용에 의한 사고 발생이나 품질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원래의 용기에 넣고 꼭 닫아 보관할 것.
11. 기타
글리시리진산 또는 감초를 함유하는 제제의 경구투여에 의해 횡문근융해증이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다.
앰플주사제는 용기절단시 유리파편이 혼입되어,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사용시 유리파편 혼입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신중하게 절단사용하되, 특히 어린이, 노약자 사용시에는 각별히 주의할 것.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에 과민증 환자
2) 알도스테론증 환자, 근육병변이 있는 환자, 저칼륨혈증 환자(저칼륨혈증, 고혈압 등을 악화시킬 수 있다.)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고령자(저칼륨혈증 등의 발현율이 높다.)
2) 이 약은 건조아황산나트륨이 함유되어 있어 아나필락시와 같은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일부 감수성 환자에서는 생명을 위협할 정도 또는 이보다 약한 천식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 일반 사람에서의 아황산감수성에 대한 총괄적인 빈도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낮은 것으로 보이며 아황산감수성은 비천식환자보다 천식환자에서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이상반응
1) 쇽 : 쇽, 아나필락시성 쇽(혈압저하, 의식소실, 호흡곤란, 심폐정지, 홍조, 안면부종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이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투여를 즉시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2) 위알도스테론증 : 증량 또는 장기연용에 의하여 고도의 저칼륨혈증, 저칼륨혈증의 발현빈도상승, 혈압상승, 나트륨ㆍ체액의 저류, 부종, 체중증가 등의 위(僞)알도스테론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혈청칼륨치 측정 등 관찰을 충분히 하고 이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또한 저칼륨혈증의 결과로서 무력감, 근력저하 등이 나타날 수 있다.
3) 그 외 이상반응 :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투여량의 증가에 의하여 혈청칼륨치의 저하, 혈압상승의 발현빈도의 상승 경향이 나타난다.
① 체액ㆍ전해질 : 때때로 혈청칼륨치의 저하, 혈압상승 드물게 부종 전신권태감, 근육통이 나타날 수 있다.
② 기타 : 드물게 발진, 이상반응, 두통, 열감이 나타날 수 있다.
5. 일반적 주의
1) 쇽 등의 발현이 예상되므로 충분한 문진을 한다.
2) 쇽 발현시에 응급조치를 취할 준비를 해 둔다.
3) 투여 후 환자는 안정한 상태를 취하도록 하고 충분히 관찰한다.
4) 감초를 함유하는 제제와의 병용시는 이 약에 함유되어 있는 글리시리진산이 중복되어 위알도스테론증이 나타나기 쉬워지므로 주의한다.
6. 상호작용
다음의 이뇨제와 병용시 이들의 이뇨작용은 이 약에 함유되어 있는 글리시리진의 칼륨배설작용을 증강시켜, 혈청칼륨치의 저하가 나타나기 쉬워져 저칼륨혈증(무력감, 근력저하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혈청칼륨치의 측정 등 관찰을 충분히 하고 주의한다. : 치아짓계 및 유사 강압이뇨제(트리클로르메치아짓 등), 루프계 이뇨제(에타크린산, 푸로세미드 등)
7. 임부에 대한 투여
임부 등에 대하여는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및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게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8. 고령자에 대한 투여
임상적으로 사용되었을 때 고령자에서는 저칼륨혈증 등의 부작용의 발현율이 높은 경향이 확인되었으므로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면서 신중히 투여한다.
9. 적용상의 주의
정맥주사할 경우에 혈관통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면서 가능한 한 투여속도를 천천히 주사한다(정맥주사시).
10.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에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할 것.
2) 의약품을 원래 용기에서 꺼내어 다른 용기에 보관하는 것은 의약품 오용에 의한 사고 발생이나 품질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원래의 용기에 넣고 꼭 닫아 보관할 것.
11. 기타
글리시리진산 또는 감초를 함유하는 제제의 경구투여에 의해 횡문근융해증이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다.
도움닥 등록일 : 2023-06-29 17:40:02
자료 제공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도움닥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