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제일팻리스주(L-카르니틴)
2. 허혈성심질환에 의한 심근대사장애 : 협심증, 급성심근경색
3. 혈액투석중인 말기 신 질환자의 카르니틴결핍증 치료
허혈성심질환에 의한 심근대사장애 : 협심증, 급성심근경색
성인 : L-카르니틴으로서 1일 2~3 g을 2~3회 분할하여 근육 또는 정맥주사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2. 혈액투석중인 말기 신 질환자의 카르니틴결핍증 치료
초기에는 10~20 mg/kg을 매회 혈액투석 종료시 2~3분에 걸쳐 정맥주사한다.
단, 혈액투석전 혈장 L-카르니틴치에 따라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앰플 주사제는 용기 절단시 유리파편이 혼입되어, 이상반응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사용시 유리파편 혼입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신중하게 절단 사용하되, 특히 어린이, 노약자 사용시에는 각별히 주의한다.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이 약에 과민증 환자
3. 이상반응
일시적인 구역·구토가 나타날 수 있다. 드물게 체취, 위염이 드물게 보고되었으며, 경구나 정맥으로 L-카르니틴을 투여 받고 있는 환자에서 발작이 보고되었다. 기존의 발작병력이 있었던 환자에서는 발작의 빈도 및 강도가 증가되었다. 또한 만성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이중맹검, 위약대조 시험에서 인과성과 관계없이 아래와 같이 부작용이 보고되었다.
위약 (n=63) |
L-카르니틴 10 mg(n=34) |
L-카르니틴 20 mg(n=62) |
L-카르니틴 40 mg(n=34) |
L-카르니틴 10,20,40 mg(n=130) |
|
<전신> |
|||||
복통 |
17 |
21 |
5 |
6 |
9 |
우발적상해 (accidental injury) |
10 |
12 |
8 |
12 |
10 |
알러지 반응 |
5 |
6 |
2 |
||
천식 |
8 |
9 |
8 |
12 |
9 |
요통 |
10 |
9 |
8 |
6 |
8 |
흉통 |
14 |
6 |
15 |
12 |
12 |
열 |
5 |
6 |
5 |
12 |
7 |
독감증후군 (Flu syndrome) |
40 |
15 |
27 |
29 |
25 |
두통 |
16 |
12 |
37 |
3 |
22 |
감염 |
17 |
15 |
10 |
24 |
15 |
주사부위 반응 (injection site reaction) |
59 |
38 |
27 |
38 |
33 |
통증 |
49 |
21 |
32 |
35 |
30 |
<심혈관계> |
|||||
부정맥 |
5 |
3 |
3 |
2 |
|
심실세동 |
2 |
6 |
2 |
||
심혈관계 질환 |
6 |
3 |
5 |
6 |
5 |
비정상적심전도 |
3 |
6 |
2 |
||
출혈 |
6 |
9 |
2 |
3 |
4 |
고혈압 |
14 |
18 |
21 |
21 |
20 |
저혈압 |
19 |
15 |
19 |
3 |
14 |
심계항진 |
3 |
8 |
|||
빈맥 |
5 |
6 |
5 |
9 |
6 |
혈액질환 |
2 |
2 |
6 |
2 |
|
<소화기계> |
|||||
식욕부진 |
3 |
3 |
5 |
6 |
5 |
변비 |
6 |
3 |
3 |
3 |
3 |
설사 |
19 |
9 |
10 |
35 |
16 |
소화불량 |
10 |
9 |
6 |
5 |
|
위장관 질환 |
2 |
3 |
6 |
2 |
|
혈변 |
3 |
6 |
2 |
||
구역 |
10 |
9 |
2 |
||
위장 무기력 |
5 |
||||
구토 |
16 |
9 |
16 |
21 |
15 |
<내분비계> |
|||||
부갑상선 질환 |
2 |
6 |
2 |
6 |
4 |
<혈액 및 림프계> |
|||||
빈혈 |
3 |
3 |
5 |
12 |
6 |
<대사성/영양성> |
|||||
고칼슐혈증 |
3 |
15 |
8 |
6 |
9 |
고칼륨혈증 |
6 |
6 |
6 |
6 |
6 |
과혈량증 |
17 |
3 |
3 |
12 |
5 |
말초부종 |
3 |
6 |
5 |
3 |
5 |
체중감소 |
3 |
3 |
8 |
3 |
5 |
체중증가 |
2 |
3 |
6 |
2 |
|
<근육-골격계> |
|||||
다리경련 |
13 |
8 |
4 |
||
근육통 |
6 |
||||
<신경계> |
|||||
불안 |
5 |
2 |
1 |
||
우울 |
3 |
6 |
5 |
6 |
5 |
어지러움 |
11 |
18 |
10 |
15 |
13 |
약물의존 |
2 |
6 |
2 |
||
긴장항진 |
5 |
3 |
1 |
||
불면 |
6 |
3 |
6 |
4 |
|
감각이상 |
3 |
3 |
3 |
12 |
5 |
현훈 |
6 |
2 |
|||
<호흡계> |
|||||
기관기염 |
5 |
3 |
3 |
||
기침 증가 |
16 |
10 |
18 |
9 |
|
호흡곤란 |
19 |
3 |
11 |
3 |
7 |
인두염 |
33 |
24 |
27 |
15 |
23 |
호흡계 질환 |
5 |
||||
비염 |
10 |
6 |
11 |
6 |
9 |
부비강염 |
5 |
2 |
3 |
2 |
|
<피부계> |
|||||
소양증 |
13 |
8 |
3 |
5 |
|
발진 |
3 |
5 |
3 |
3 |
|
<특별감각계> |
|||||
약시 |
2 |
6 |
3 |
||
안질환 |
3 |
6 |
3 |
3 |
|
미각이상 |
2 |
9 |
3 |
||
<비뇨기계> |
|||||
비뇨기 감염 |
6 |
3 |
3 |
2 |
|
신부전 |
5 |
6 |
6 |
6 |
6 |
경구로 엘카르니틴을 투여한 환자에게서 발진, 두드러기, 안면부종이 보고되었다.
경구로 엘카르니틴을 투여한 요독증 환자에게서 경증의 근무력증이 보고되었다.
4.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신중의 투여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2) 모유의 이행은 알려진 바 없으나 많은 약들이 모유로 이행되므로 수유중에는 신중히 투여한다.
자료 제공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도움닥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