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품목기준코드 : 200600328
[의약품] 유니온메퀴타진정(수출용)
품목구분
의약품
제품명
유니온메퀴타진정(수출용)
업체명
한국유니온제약(주)
품목구분
의약품
품목분류
[01410]항히스타민제
주성분
메퀴타진
첨가제
총량 : 이 약 1정(200.0mg)중|성분명 : 메퀴타진|분량 : 5.0|단위 : 밀리그램|규격 : JP|성분정보 : |비고 :
취소사유
취하
취하
취소일
20230414
20230414
효능효과
두드러기, 고초열, 알레르기성 비염, 습진, 소양증, 맥관부종, 결막염
용법용량
사용상의주의사항
1. 다음 환자는 투여하지 말 것
1) 페노치아진계 약물 및 그 유사화합물에 과민증 환자
2) 녹내장환자(항콜린작용에 의함)
3) 전립선비대 등 하부요로 폐색성 질환환자(항콜린작용에 의함)
4) 혼수상태 환자 또는 바르비탈계 약물, 마취제 등 중추신경억제제를 대량 투여중인 환자
5) MAO억제제를 투여중인 환자
6) 간질 환자
7) 간염 환자
8) 소아(정제에 한함)
9) 2세 이하 영아(시럽제에 한함)
9) 이 약에 알레르기 증상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신장애 환자
2) 간장애 환자
3) 협착성 소화성 궤양 또는 유문십이지장 폐색 환자
4) 급성 알코올 중독 환자
5) 유문십이지장 궤양 환자
6) 조혈장애 환자
7) 천식, 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등 하기도 질환 환자
8) 수면무호흡증의 병력 환자
9) 고령자(정제에 한함)
3. 부작용
1) 과민증 : 드물게 발진, 광선과민증, 피부반응(독성, 알레르기성)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 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복용후 곧바로 두드러기, 부종, 가슴쓰림 등과 동시에 안색창백, 수족냉감, 식은 땀, 숨가뿜 등 쇽(아나필락시)이 나타날 경우에는 즉시 복용을 중지하고 의사의 진료를 받는다.
2) 간 : 드물게 전신피로, 황달, ALT, AST 상승, 담즙울체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관찰 을 충분히 하고 이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3) 혈액 : 드물게 조혈장애로 혈소판 감소가 나타나 코출혈, 잇몸출혈, 청색반점 등의 출혈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4) 정신신경계 : 때때로 졸음, 귄태감, 어지러움, 드물게 두통, 정신착란, 흥분, 불안이 나 타날 수 있다.
5) 소화기계 : 때때로 구갈, 위부불쾌감, 드물게 설사, 위통, 식욕부진, 구역, 구토, 변비, 복통 등이 나타날 수 있다.
6) 순환기계 : 드물게 흉부고민감, 심계항진, 저혈압이 나타날 수 있다.
7) 비뇨기계 : 드물게 배뇨곤란 등이 나타날 수 있다.
8) 기타 : 드물게 인후통, 부종, 안면홍조, 시력장애, 월경이상, 미각이상, 구내마비감이 나 타날 수 있다.
4. 일반적 주의
졸음이 올 수 있으므로 이 약을 투여중인 환자는 자동차운전 등 위험한 기계조작에 종사 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5.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부 : 임신중의 투여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는 투여하지 않는다.
2) 수유부 : 동물실험에서 이 약이 모유중에 이행되었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투여중에는 수유를 중지한다.
6. 소아에 대한 투여
1) 소아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사용경험이 적다)
2) 다른 페노치아진계 약물을 소아(특히 2세 이하)에 투여한 경우 유아돌연사망증후군 (SIDS) 및 유아 수면시 무호흡발작이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다.
7. 상호작용
바르비탈계 약물, 마취제, 마약성 진통제 또는 정신안정제 등의 중추신경억제제, 항우울약, 혈압강하제 또는 아트로핀양 작용을 나타내는 약물과 병용 또는 알코올 섭취에 의해 상호 작용이 증강될 수 있으므로 감량하는 등 신중히 투여한다.
8. 과량투여시의 처치
과량 투여시의 증상은 무기력, 구역, 구토가 나타나며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인 공호흡, 항경련성 치료, 위세척 또는 지지요법을 한다.
1) 페노치아진계 약물 및 그 유사화합물에 과민증 환자
2) 녹내장환자(항콜린작용에 의함)
3) 전립선비대 등 하부요로 폐색성 질환환자(항콜린작용에 의함)
4) 혼수상태 환자 또는 바르비탈계 약물, 마취제 등 중추신경억제제를 대량 투여중인 환자
5) MAO억제제를 투여중인 환자
6) 간질 환자
7) 간염 환자
8) 소아(정제에 한함)
9) 2세 이하 영아(시럽제에 한함)
9) 이 약에 알레르기 증상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신장애 환자
2) 간장애 환자
3) 협착성 소화성 궤양 또는 유문십이지장 폐색 환자
4) 급성 알코올 중독 환자
5) 유문십이지장 궤양 환자
6) 조혈장애 환자
7) 천식, 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등 하기도 질환 환자
8) 수면무호흡증의 병력 환자
9) 고령자(정제에 한함)
3. 부작용
1) 과민증 : 드물게 발진, 광선과민증, 피부반응(독성, 알레르기성)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 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복용후 곧바로 두드러기, 부종, 가슴쓰림 등과 동시에 안색창백, 수족냉감, 식은 땀, 숨가뿜 등 쇽(아나필락시)이 나타날 경우에는 즉시 복용을 중지하고 의사의 진료를 받는다.
2) 간 : 드물게 전신피로, 황달, ALT, AST 상승, 담즙울체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관찰 을 충분히 하고 이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3) 혈액 : 드물게 조혈장애로 혈소판 감소가 나타나 코출혈, 잇몸출혈, 청색반점 등의 출혈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4) 정신신경계 : 때때로 졸음, 귄태감, 어지러움, 드물게 두통, 정신착란, 흥분, 불안이 나 타날 수 있다.
5) 소화기계 : 때때로 구갈, 위부불쾌감, 드물게 설사, 위통, 식욕부진, 구역, 구토, 변비, 복통 등이 나타날 수 있다.
6) 순환기계 : 드물게 흉부고민감, 심계항진, 저혈압이 나타날 수 있다.
7) 비뇨기계 : 드물게 배뇨곤란 등이 나타날 수 있다.
8) 기타 : 드물게 인후통, 부종, 안면홍조, 시력장애, 월경이상, 미각이상, 구내마비감이 나 타날 수 있다.
4. 일반적 주의
졸음이 올 수 있으므로 이 약을 투여중인 환자는 자동차운전 등 위험한 기계조작에 종사 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5.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부 : 임신중의 투여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는 투여하지 않는다.
2) 수유부 : 동물실험에서 이 약이 모유중에 이행되었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투여중에는 수유를 중지한다.
6. 소아에 대한 투여
1) 소아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사용경험이 적다)
2) 다른 페노치아진계 약물을 소아(특히 2세 이하)에 투여한 경우 유아돌연사망증후군 (SIDS) 및 유아 수면시 무호흡발작이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다.
7. 상호작용
바르비탈계 약물, 마취제, 마약성 진통제 또는 정신안정제 등의 중추신경억제제, 항우울약, 혈압강하제 또는 아트로핀양 작용을 나타내는 약물과 병용 또는 알코올 섭취에 의해 상호 작용이 증강될 수 있으므로 감량하는 등 신중히 투여한다.
8. 과량투여시의 처치
과량 투여시의 증상은 무기력, 구역, 구토가 나타나며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인 공호흡, 항경련성 치료, 위세척 또는 지지요법을 한다.
도움닥 등록일 : 2023-06-29 01:25:02
자료 제공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도움닥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